학술논문
수학 교과서의 덧셈과 뺄셈 문장제와 그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분석
이용수 12
-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Word Problems of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in Mathematics Text Books and its Students' Response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대현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1권 제3호, 479~49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기(counting)와 같은 일상 경험에서 비롯되는 수와 연산에 관한 비형식적 지식은 이후의 학교 교육에 영향을 주며, 문제에 기술된 행위나 관계 유형에 따른 여러 가지 문장제를 해결할 때 문제해결 전략에도 영향을 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덧셈과 뺄셈의 문장제를 1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교과서에 제시된 문장제를 분석하였다. 또한 115명의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각각의 문장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분석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덧셈의 경우에 전체적으로 합병 상황의 문장제가 첨가 상황의 문장제보다 많았다. 또한 뺄셈의 경우에 구잔 상황의 문장제가 구차 상황이나 등화 상황의 문장제보다 많았다. 학생들의 문장제 풀이 결과를 분석한 결과, 덧셈 상황에서는 첨가 상황의 문제와 합병 상황의 문제에서 정답률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뺄셈 상황에서는 구잔 상황의 문제에서 다른 두 상황의 문제보다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Some children can construct a basic concept of addition and subtraction during the preschool years. Children start to experience mathematics via numbers and their operations and contact with various contexts of addition and subtraction. In special, word problems reflect mathematics which is appliable to real life. In this paper, I analyse the types of word problems in text book and its students' responses. First, I analyse the types of addition word problems which consist of change add-into situations and part-part-whole situations. Second, I analyse the types of subtraction word problems which consist of change take-away situations, compare situations and equalize situations. Third, I analyse the students' responses by the types of word problems in addition and subtraction. And 115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drawn from this study. First, the proposition of word problems of part-part-whole situations is higher than that of change add-into situations and the proposition of word problems of take-away situations is higher than that of compare situations and equalize situ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about students' responses, It is no difference between change add-into situations and part-part-whole situations. But the proposition of word problems of take-away situations is higher than that of compare situations and equalize situations. This results from word problems which contain unnecessary information in problem. So, we have to present the various word problems to student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1〉문장제 해결 검사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교 수학 문제해결에서 CAS의 도구발생
- 정보 분석 및 활용 측면에서의 중학교 2학년 확률 단원 분석
-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소수 도입에 대한 분석과 비판
- An Investigation of Two Seventh Graders’Modification of their Multiplicative Reasoning for Solving Combinatorial Problems and their Reciprocal Interactions with Represented Symbols
- 구술형식을 이용한 확률의 독립사건의 개념 지도 방법
- 수학 교과서의 덧셈과 뺄셈 문장제와 그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분석
- 교과서 연립방정식 단원에 제시된 수학사의 소재 분석 및 교수학적 분석
-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 An Experienced Teacher's Representations of Beliefs and Knowledge in Mathematics Instruction
- 역사발생적 원리에 따른 교수학습 모듈을 적용한 수행평가의 교수학적 효과 분석
- 교수 중재 방법에 따른 수학 문장제 수행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