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수 중재 방법에 따른 수학 문장제 수행 비교
이용수 4
- 영문명
- A Comparison of Two Methods of Instruction on Mathematical Word Problem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억곤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1권 제3호, 497~51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3학년 아동 53명을 대상으로 도식기반 전략 프로그램으로 수학 문장제를 교수함에 있어 중재재료 투입방법(병렬, 순차)에 따른 수행결과를 처치집단, 문제유형(결합, 변화, 비교), 회기별(사전검사, 사후검사 3회)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전, 사후검사 문항은 곱하기와 나누기 연산을 필요로 하는 결합, 변화, 비교 문제로 각 3문제씩 9문제로 구성되었으며 각 회기가 끝난 다음날 바로 사후검사로 수행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문장제 유형별 수행이 교수재료 투입시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문제구조가 유사한 결합형 문제와 변화형 문제인 경우 나중에 교수한 변화문제의 도식이 결합문제의 도식 생성에 혼란을 주어 결합문제의 수행이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d two problem solving instructional approaches, schema based sequence instruction and schema based parallel instruction on wor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in general students group. The subjects totaled 48 third grade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a test that consisted of 9 word problem items of three types for 4 sessions. First of all, the baseline of word problem performance level was measured without any training. During session 1, 2 and 3 participants were put into strategic training groups. The experiment was designed by two between factor(two intervention group and two within factors(two problem types, three sessions). The results of experiment were as follows. Schema based sequence instruction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students in another group on wor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The effect of strategic schema based instruction revealed that solving word problems relied upon problem types, sessions and input orders which were of great valu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교 수학 문제해결에서 CAS의 도구발생
- 정보 분석 및 활용 측면에서의 중학교 2학년 확률 단원 분석
-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소수 도입에 대한 분석과 비판
- An Investigation of Two Seventh Graders’Modification of their Multiplicative Reasoning for Solving Combinatorial Problems and their Reciprocal Interactions with Represented Symbols
- 구술형식을 이용한 확률의 독립사건의 개념 지도 방법
- 수학 교과서의 덧셈과 뺄셈 문장제와 그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분석
- 교과서 연립방정식 단원에 제시된 수학사의 소재 분석 및 교수학적 분석
-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 An Experienced Teacher's Representations of Beliefs and Knowledge in Mathematics Instruction
- 역사발생적 원리에 따른 교수학습 모듈을 적용한 수행평가의 교수학적 효과 분석
- 교수 중재 방법에 따른 수학 문장제 수행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