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 영재의 추상화 학습에서 기호의 의미 작용 과정 사례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Case Analysis on the Signification Model of Three Signs in a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bstraction Proces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송상헌 신은주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9권 제1호, 161~18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 명의 초등학교 수준의 수학영재가 「Nim 게임의 조건 변경」이라는 주어진 과제의 해법을 추상화할 때 보여주는 기호의 의미 작용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영재교육을 위한 적절한 지도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찰과 면담의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집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수준의 수학영재는 일반적 수준의 추상화에서 구성한 대상체의 의미를 협상해가면서 해석체와 표현체를 구성하는 능력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영재아라도 일반적 수준의 추상화에서 형식적 수준의 추상화로 수준이 상승되는 과정에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여기에 적절한 지도 조언을 통해 일반적 수준에서 스스로 구성한 표현체의 해석체를 구성할 수 있을 때 비로소 형식적 수준으로 상승하고, 또 형식적 수준과 일반적 수준이 연결된 관계망을 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초등수준의 수학영재들에게 기호의 의미 작용 과정을 돕는 3가지의 지도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how a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constructs a nested signification model of three signs, while he abstracts the solution of a given NIM game. The findings of a qualitative case study have led to conclusions as follows. In general, we know that most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within top 0.01%) in the elementary school might be excellent in constructing representamen and interpretant. But it depends on the cases. While a student, one of best, is making the meaning of object in general level of abstraction, he also has a difficulty in rising from general level to formal level. When he made the interpretant in general level with researcher's advice, he was able to rise formal level and constructed a nested signification model of three signs. We suggested 3 considerations to teach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사고 및 문제해결력이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영아 그림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