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최적화 문제 유형 분석
이용수 18
- 영문명
- Analysis of the Types of Optimization Problem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최종현 송상헌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0권 제3호, 409~42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학교 수학교육이나 실생활에서 취급하고 있는 최적화 문제가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는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최적화 문제의 적용 가능성 여부를 진단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 교육과정이나 교사용지도서에는 최적화의 용어나 개념을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小野里雅彦(2006)의 최적화 문제 분류 기준인 DCMEG에 따라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12권을 분석한 결과 문제 상황으로 제시된 최적화 문제(13문항), 개념으로 제시된 최적화 문제(11문항), 실제 생활에 적용된 최적화 문제(7문항)의 3가지 유형이 이미 제시되고 있었다. 최적화 문제는 수학의 개념 발달이나 생활 소재를 이해하는데 기여해 온 의미 있는 소재이므로 이러한 유형의 문제 해결 경험은 초등학교 학생들이라 할지라도 문제 상황 속에서 최적화의 의미를 찾고, 수학 개념을 의미 있게 이해하며, 실제 생활 속에서 수학의 가치를 인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optimization problems handled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nd real life are handl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the optimization problem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DCMEG, the optimization problem classification criterion of Ono-ri (2006), 12 mathematics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2009 revision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optimization problem (13 questions) ), And optimization problem (7 questions) applied in real life. However, the term or concept of optimization was not mentioned in the curriculum or the teacher's guidebook. However, if we renew our perception of optimization problems, it will be possible to deal with optimization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s. This type of problem-solving experience allows students to find the meaning of optimization in problem situations, to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meaningfully, and to understand real life situation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to recognize the value of mathematics.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최적화 문제
III.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최적화 문제 분석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6학년 학생들의 공간감각 향상과 전이 및 유지를 위한 심적 회전 활동의 효과
-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최적화 문제 유형 분석
- 호도법의 교수학적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Ⅱ> 교과서의 정적분 정의에 대한 대안
- 정의 지도를 위한 What-If-Not 전략의 활용
- 초-중학교 전환에 따른 수학 성취도와 태도, 수학 수업 활동의 변화
-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따른 수학 기초학력 평가 및 대학 교양수학 교과목 학업성취도 분석
- 프락시올로지-기반 수학과제의 분석과 설계
- 수식형 문제와 문장제 수행에서 나타난 뇌파의 상대 파워 스펙트럼 분석
-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이용한 최근 수학교육 연구 동향 탐색
- ‘우유의 양’ 과제를 이용한 초등학교 6학년 수업에서 수학적 모델링 교수·학습 분석
- 조건부적 마인드풀니스 수학과제의 잠재적 영향력에 대한 탐색
- 과제 대화록에 나타난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주목하기
- 학교수학 제20권 제3호 목차
- 비율그래프 지도를 위한 창의적 과제의 설계와 적용
- 정폭도형 프로젝트 사례에 나타난 교과역량 탐색
-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
- 수학과 서술형 평가에 대한 연구
- 통계적 탐구활동 결과물에 나타난 고등학생의 통계적 소양
- 마이크로티칭에서 예비수학교사의 질문에 대한 연구
- 예비교사의 문제 만들기 유형과 교수·학습에 대한 인식
- 학교수학 제20권 제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