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들뢰즈의 인식론과 수학 학습
이용수 28
- 영문명
- Deleuze’s Epistemology and Mathematics Learning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노정원 이경화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8권 제3호, 733~74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학 학습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학습자에 대한 선험적인 가정들에 의존하는 것은 마치 학습자를 미리 잘 준비된 존재와 같이 바라보도록 할 위험성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해줄 것이라 기대되는 관점으로 기존 수학교육 연구에서 잘 주목해오지 않았던 들뢰즈의 인식론을 고찰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주의 인식론과 기존 수학교육 이론에서의 수학 학습에 대한 논의들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전통 철학에서 가정하고 있는 인간의 사유에 대한 임의적인 전제들을 비판적으로 재고할 수 있었고, 낯선 기호와의 마주침을 통한 사유 발생의 비자발적인 측면을 부각시키는 새로운 사유의 모델을 발견하였다. 들뢰즈 인식론에서 파악한 이와 같은 사유 모델은 수학 학습의 비자발적인 측면과 그 출발 지점에서 학습자가 겪는 혼란과 어려움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o describe mathematics learning relying on a priori assumptions about the learners has a risk of assuming the learners as well-prepared subje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pistemological perspective of Gilles Deleuze which is expected to give overcome this risk. Then we analyze the constructivist's epistemology and prior discussions about learning mathematics in the preceding studies accordingly. As a result, a priori assumption on which students are regarded as well-prepared for learning mathematics is reconsidered and we propose a new model of thought to highlight the involuntary aspect of the occurrence of thinking facilitated by the encounter with mathematical signs. This perspective gives a new vision on involuntary aspects of mathematics learning and the learner’s confusion or difficulty at the starting point of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들뢰즈의 인식론적 관점
Ⅲ. 수학 학습에의 적용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 구성 활동을 통한 암묵적 지식의 현시에 관한 연구
- 중학생들의 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이해와 발달
-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수학학습가치 검사 도구 개발과 분석
-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미분계수 과제 변형
- 수학 교과서 프로젝트 학습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오마르 카얌(Omar Khayyam)이 제시한 삼차방정식의 기하학적 해법의 교육적 활용
- 들뢰즈의 인식론과 수학 학습
- 이분모분수의 덧셈과 뺄셈 교육 재고
- 초등학생의 창의ㆍ융합적 사고 및 문제해결력에 관한 연구
- 초등기하 학습에서의 구체물과 반구체물 활용에 대한 연구
-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용어․기호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평행사변형은 사다리꼴이다.”에서 '이다'에 대한 고찰
- 대입 수리논술고사에 대한 고찰과 실제
- 예비교사의 무리수의 개념과 표현에 대한 이해
-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신념 분석 연구
- 학교수학 제18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