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浅析韩中隐喻性惯用语投射的文化共性和差异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김진희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57집, 131~14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re are a lot of metaphors in Korean and Chinese idioms, which come from both nations’ cognition and reflection of realistic world and possess evident national color. According to views of cognitive linguistics, some metaphorical reflection has universality and some have specialty and only exist in specified culture. Korea and China have different national cultures and language view, so metaphors in the two countries’ idioms have different features. we think that idiom is the product of all human beings’ cognitive activities and most Korean and Chinese idioms are metaphorical. This study makes trial exploration of understanding and emergence mechanism of Korean and Chinese idioms with research achievements of modern metaphor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thinking that idiom is the result of applying metaphorical thoughts in the process of cognition. Metaphor is not only a kind of rhetorical device in language but also an important thinking way through which human learn about the world. Metaphorical thought can improve with the improvement of human being’s cognitive capacity and it is advanced stage of human’s cognition. It is proper to say that the essence of metaphor is illustrating things in one field with experience of another field. People’s concept is based on this. Metaphor phenomena can be seen everywhere, because human’s language include a large number of metaphors, which are very universal. Metaphors behind Korean and Chinese idioms not only are rhetorical devices by means of form vivid expression of language but also, more importantly, are based on experiences. Experience of daily life is the gap that connects object things in different domains.
목차
Ⅰ. 绪论
Ⅱ. 隐喻与惯用语的文化认知
Ⅲ. 隐喻性惯用语投射的文化共性和差异
Ⅳ. 结语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古代汉语 ‘及・至’의 전치사·접속사 기능에 대한 의문
- 漢代 四言詩 初探
- 중국어 결과보어 ‘着(zhao)’의 허화성 유무에 대한 고찰
- 比․興 전통과 新詩 표현수법과의 관계 고찰
- 《朱子語類》 ‘述+了₁+ 賓 + 了₂’ 의 어법사적 의의
- 《彭祖》제 7-8간의 문자와 문장에 대한 고찰
- 船山詩學 체계 속 ‘興會’에 대한 一考
- 최정희와 장아이링의 여성의식 비교 연구
- 中國人 醫療觀光 誘致活性化 方案 硏究
- 伊尹 형상에 대한 고찰
- 論方苞与劉大櫆的古文理论
- 从汉语动植物成语的具象特点看汉民族的文化和思维方式
- “正始之音”辨正
- 宋代 雅詞論 硏究
- 韩·中文人关于山东登州咏史诗之比较硏究: 以中国明朝年间为中心
- 淸代 秧歌의 特性
- 당대 중국 <귀교교권권익보호법>의 역사적 배경 및 그 의의 연구
- 试论王蒙小说叙事角度的更迭及其艺术表现的内驱力
- 浅析韩中隐喻性惯用语投射的文化共性和差异
- 《論語》「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也」句 小考
- 《說苑》에 나타난 ‘然’ 고찰
- 현대 중국어 어기부사 ‘本來’ ‘原來’의 통사-의미기능 비교
- 一类特殊的“把”字句分析
- 노신과 기독교
- “白洋淀诗歌群落”, 그리고 린망(林莽)의 詩에 관한 小考
- <申屠澄>研究
- 중국인문과학 제57집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