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하이데거의 초월과 니체의 초인(Übermensch)

이용수  122

영문명
Heidegger's Transcendence and Nietzsche's Overman(Übermensch)
발행기관
한국니체학회
저자명
김태현
간행물 정보
『니체연구』제43집, 113~14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니체의 초인사상에 대한 후기 하이데거의 해석과 전기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바라본 니체의 인간관을 주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하이데거가 시도하지 않았던 니체 해석, 즉 그의 전기 사상의 핵심 개념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초월 개념을 통해 니체의 인간관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고찰은 하이데거의 명시적인 니체 해석이라고 볼 수는 없기 때문에, 논자의 단 순한 시도에 불과할 수 있다. 그러나 하이데거가 수행한 니체 해석의 정확한 의 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기 하이데거의 초월 개념에 입각하여 니체의 인간관 을 살펴보는 것이 의미 있는 시도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하여 본 고 찰이 하이데거의 명시적인 니체 해석을 배제하지는 않을 것이다. 시간적 순서를 따른다면, 전기 하이데거의 관점, 즉 초월 개념에 입각해서 니체의 인간관을 살 펴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하이데거의 명시적인 니체 해석이 있기 때문에, 본 고찰은 이 해석을 먼저 주목할 것이다. 따라서 논자는 하이데거의 초인 해석이 왜 주체성의 형이상학으로 평가되는지를 검토한 후에, 전기 하이데거의 관점에 서 니체의 초인이 달리 해석될 여지가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논자가 하이 데거의 초월 개념을 주목하는 이유는 하이데거와 니체의 인간관이 외관상 유사 해 보이지만 이 개념을 통해서 볼 때 양자의 인간이해는 차이점이 존재하기 때 문이다. 따라서 논자는 두 사상가의 인간에 대한 이해에 현격한 차이가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니체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은 전기 사상 의 연속선상에서 이해되고 있음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focuses on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Overman (Übermensch) and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Nietzsche’s human view from the point of view of early Heidegger. Specifically, this thesis aims to examine Nietzsche’s human view through the concept of transcendence, which can be evaluated as the key concept of his early thought. This consideration cannot be regarded as Heidegger’s explicit interpretation of Nietzsche.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act intention of Nietzsche’s interpretation performed by Heidegger, it can be a meaningful attempt to examine Nietzsche’s human view based on Heidegger’s concept of transcendence. However, this consideration will not exclude Heidegger’s explicit interpretation of Nietzsche. Therefore, after examining Heidegger’s explicit interpretation of Nietzsche, this paper will examine why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Overman is evaluated as the metaphysics of subjectivity. And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Heidegger, we will consider whether Nietzsche’s Overman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Through this discussion, it will be seen that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Nietzsche is understood in the continuous line of his early thought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니체의 초인사상과 형이상학
3. 현존재의 초월과 니체의 초인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현. (2023).하이데거의 초월과 니체의 초인(Übermensch). 니체연구, (), 113-140

MLA

김태현. "하이데거의 초월과 니체의 초인(Übermensch)." 니체연구, (2023): 113-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