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 표현 영역에서 반성적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실행 연구
이용수 211
- 영문명
- A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Reflective Art Ex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예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6券 3號, 138~167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술 표현 영역에서 반성적 사고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서 실행하여 학생들의 인지적 영역 변화를 살펴보았다. 교수·학습 모형은 전이와 조절, 계획, 모니터링, 제작, 성찰 단계이며 각 단계는 순환한다. 실행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해석과 이해 역량 변화를 보였는데, 개인적 해석과 성찰(나 만나기), 상호 간 대화와 이해(너 이해하기) 그리고 세계에 대한 철학적 이해(우리 알기) 측면에서 교육학적으로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지 미술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론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reflective thinking in the field of art expression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cognitive domain of students.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s a stage of transition, control, planning, monitoring, production, and reflection, and each stage is circulated. As a result of the action study, learners showed changes in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capabilities, which were pedagogically meaningful in terms of personal interpretation and reflection(meeting me), mutual dialogue and understanding(understanding you) and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world( knowing u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direction of cognitive art education research and prepare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that can be referred to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교수·학습 모형 설계와 개발
Ⅳ. 교수·학습 모형 실행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