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 논리 및 논술 과목에서 협동 학습을 통한 통합 논술 교수 학습 지도안 개발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이용수  324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lan about writing argumentative essay by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using cooperative learning in art logic and essay subjects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경순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第36券 3號,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 대상으로 미술 논리 및 논술 과목에서 ZOOM 수업으로 협동 학습을 통한 논술과 통합 논술 교수 학습 지도안 개발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로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의 논술 경험과 수업 지도안 개발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며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 학습을 통한 협동 논술과 통합 논술 지도안 개발은 예비교사에게 높은 학습성과를 가져왔다. 둘째, 미술 교과와 타 교과와 연계한 통합 논술 지도안 개발은 비판적 정보 분석력과 논술에서의 자신감을 높여주었다. 셋째, 통합 학습 활동지는 학습 난이도가 높은 미술 논리 논술 과목에서 학습 성취도를 높이는 기능을 했다. 넷째, 조별 협동 학습은 유능한 예비교사가 비계가 되어 학차 수가 낮은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도왔다. 다섯째, 합평은 예비교사들의 통합 논술 방법을 재인시키고, 주제에 다른 관점으로 논술할 수 있음을 인식시켰다. 여섯째, 예비교사들은 통합 논술이 학교 교육과 삶에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논술에 무관심한 학생들의 흥미 저하를 염려하였다. 본 연구가 미술 교과 논리 및 논술 과목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예비교사의 통합 논술 지도안 개발 과정은 과목의 목적이 되어야 한다. 둘째, 논술 주제로서 찬반 토론이 가능하고 미술 교과와 타 교과와 접목할 수 있는 주제를 다루어야 한다. 그럴 때 논증적 논술이 된다. 셋째, 미술 논리 및 논술은 협동 학습 방법으로 온라인상에서 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writing integrated argumentative essay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with pre-service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 implications for art logic and essay subjec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writing and integrated writing guidance plan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brought very high learning outcomes to pre-service teachers. Second,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essay guidance plan in connection with the art subject and other subjects increased critical information analysis ability and self-confidence in writing. Third, the learning activity sheet improved the learning achievement in the art logic essay subject with high learning difficulty. Fourth, group cooperative learning helped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grades to understand because competent pre-service teachers became scaffolding. Fifth, cooperative assessment about the essay of other group recognized the pre-service teachers' integrated writing method and recognized that they could write on a topic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순. (2022).미술 논리 및 논술 과목에서 협동 학습을 통한 통합 논술 교수 학습 지도안 개발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미술교육논총, 36 (3), 1-31

MLA

김경순. "미술 논리 및 논술 과목에서 협동 학습을 통한 통합 논술 교수 학습 지도안 개발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미술교육논총, 36.3(2022):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