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Design Elements and Functional Enhancement of Online Shopping Mall ╶ Focusing on Functional Analysis of Mouse tracking╶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홍태경(Hong, Tae Kyung) 김선철(Kim, Sun Chul)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2 No.2, 26~33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자 상거래 환경인 온라인 쇼핑몰은 소비방식이 온라인쇼핑으로 변화하는 추세로, 등장이후 계속해서 규모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의류 쇼핑몰은포화 상태로, 신생 온라인 쇼핑몰들은 기존의 대형 사이트에 밀려 쉽게 사라지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각 온라인 쇼핑몰들은 차별화되는 전략을 가져야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온라인 환경에서 쇼핑몰의 웹디자인은소비자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잘 디자인된 웹사이트는 소비자들에게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와 웹사이트의디자인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고 각 디자인 요소의 기능성을 증대시키는 것에 있다. 이에 마우스트래킹조사 기법을 중심으로 사용자와 웹사이트 간의 상호작용흐름을 조사, 웹사이트 디자인 요소의 기능성을 분석하여기능성을 향상시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number of online shopping malls, an e-commerce environment based on the Internet, has been growing steadily since its inception. Especially, the clothing shopping mall is saturated, and new online shopping malls are easily lost to the existing large sites. In this situation, each online shopping mall should have a different strategy.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web design of shopping mall influences consumers in online environment. A well-designed website leads to a positive response from consum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design elements of consumers and web sites and to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each design element. We investigate interaction flow between user and website focusing on mouse tracking survey technique, and analyze the function of website design element to derive research resul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2 No.2 목차
- 블록체인 기반 항공권 예약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온라인 쇼핑몰 디자인 요소의 기능성 증대에 관한 연구 ╶ 마우스트래킹을 활용한 기능성 분석을 중심으로╶
- 스포츠 브랜드 프로모션에 따른 소비 타겟층의 구매 의향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주요 거점 상권을 중심으로╶
- VR(Virtual Reality)기술과 증강현실(AR)을 적용한 미술전시 마케팅 프로세스 연구
- 밀레니엄 세대와 Z세대 타겟 앱 디자인 경영모델 제안 - 에브리 타임과 김급식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 미장센 분석법을 활용한 지면광고 분석 ╶ 195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샘표 지면광고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