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70년대 한국 싱어송라이터의 작가의식과 표현 양상 고찰
이용수 18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of Korean Singer-Songwriters in the 1970s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이소진(Lee, Soji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4 No.2, 27~3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싱어송라이터(singer-songwriter)는 싱어(singer)와 송라이터(songwriter)의 합성어로, ‘본인이 부를 곡을 작사, 작곡하는 가수’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음유시인(吟遊詩人)으로 불리는 싱어송라이터는 작사, 작곡을 담당하는 ‘생산자 역할’과 직접 노래를 부르고 연주하는 ‘실연자 역할’을 동시에 담당한다. 이에 보통의 직업 가수들과 비교했을 때 보다 주체적인 태도와 작가주의적인 태도를 가지며 그들의 작품에서는 독창성과 진정성, 정체성 등이 내포된다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작가의식을 가지고 가치체계를 형상화하였던 1970년대 한국 싱어송라이터의 음악을 대상으로 삼아 연구하였다. 1970년대의 싱어송라이터들은 무엇을 노래하려 했고 어떠한 표현 방법으로 수용자들에게 의미를 전달했는지, 또한 수용자들은 그들의 노래를 듣고 어떻게 조응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일관성 없이 사용되던 싱어송라이터 용어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1970년대 싱어송라이터의 활동 양상과 더불어 공시적으로 음악 작품을 분석한 것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inger-songwriter is a compound word of singer and songwriter, meaning 'a singer who lyrics and composes songs to sing.' Singer-songwriter, known as a minstrel poet, plays the role of a producer who is in charge of writing and composing lyrics and the role of a performer who sings and plays songs directly. Therefore, compared to ordinary professional singers, they have a more independent attitude and authoristic attitude, and their works contain creativity, authenticity and identity.
In this paper,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music of Korean singer-songwriter in the 1970s, when the value system was embodied with a sense of writing. Singer-songwriter in the 1970s studied what they tried to sing, how they conveyed meaning to the audience, and how they listened to their songs and responded. This paper is meaningful in re-establishing the concept of singer-songwriter terms that were used inconsistently and analyzing musical works along with singer-songwriter activities in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4 No.2 목차
- 1970년대 한국 싱어송라이터의 작가의식과 표현 양상 고찰
- 오프라인 유통 기업들의 디자인 경영 성공요인 분석 ╶ 코스트코, 노브랜드, BGF 리테일 사례를 중심으로╶
- 코로나19 팬데믹에 의한 문화행사 관람형태의 변화 연구 ╶ 원격관람객과 현장감을 중심으로╶
- 친환경적 유역관리를 위한 토지이용 관리방안 - 평택호 사례를 중심으로 -
- 소비자의 패션감성/취향이 라이프스타일숍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과 감각적 체험요소가 온라인 라이프스타일 제품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형과 유럽형 라이프스타일숍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