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교과서 문제에 대한 예비중등교사의 이해 및 변형 능력
이용수 10
- 영문명
-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and Modification of Tasks in Mathematics Textbook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림(Lee, Hye lim) 김구연(Kim, Goo Yeon)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3권 3호, 353~37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예비중등교사들이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제의 수준 및 특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성격과 수업 목표 등에 적합한 문제를 어떻게 선별하고 변형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많은 예비교사들이 Procedures Without Connections[PNC] 문제를 high-level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성격과 수업 목표 등에 부합하는 문제를 제대로 선별한 인원이 전체 예비교사의 절반 이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예비교사는 낮은 인지적 노력수준의 문제를 높은 수준의 문제로 변형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understanding and modification capacity of tasks from mathematics textbook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bout how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the features of mathematical tasks and how they would select and modify tasks appropriately from the curriculum and for lesson goals.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suggest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seem to recognize Procedures Without Connections tasks as the high-level tasks. Further, 43 percent of the total numbers appropriately selected the tasks from the curriculum and for lesson goals.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appear to find it difficult to modify low-level tasks into high-level task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