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업부문의 환매권에 대한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A Study on Redemptive Right in Agriculture
- 발행기관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 저자명
- 김윤식
- 간행물 정보
- 『농업경영.정책연구』49권 4호, 674~685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edemption right, or the right to repurchase, is generally given to legal entities to guarantee their ownership of the Constitution. The repurchase right is currently prescribed in three acts, the Civil Act, the Act on Acquisition of and Compensation for Land for Public Works Projects, and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nd Farmland Management Fund Act.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meaning, validating points and conditions, and related entities of respective law. In 2020 the article prescribing the 10-year redemption right of the Act on Acquisition of and Compensation for Land for Public Works Projects was adjudicated that the article is not compatible with the property right of the Constitut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Upon the adjudication, the question has arisen whether it affects the repurchase right of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nd Farmland Management Fund Act or not. If it does, the related article should be revised and the related policy should also be changed. However, if it does not, the government and the corporation can keep the current policy without any change in the article. Reviewing the applicability of the adjudication to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nd Farmland Management Fund Act, it is concluded that the redemption right of the Ac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Act on Acquisition of and Compensation for Land for Public Works Projects and that there is no need to apply the adjudication to agriculture.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