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춤으로 본 진주교방문화의 재해석과 DB모델안

이용수  71

영문명
Reinterpretation and DB Model of Jinju Gyobang Culture seen through Dance: With a focus on Gyobang-gayo
발행기관
한국교방문화학회
저자명
김윤지(金允志)
간행물 정보
『 교방문화연구』2권 2호, 35~5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춤으로 본 진주교방문화의 재해석을 통해 교방가요와 관련된 지식의 사실성, 논리성, 학술성, 합리성을 담보로 할 수 있는 DB 구축의 연구로, 그 주요 내용들은 아래와 같다. 첫째, 춤으로 본 진주교방문화는 ‘무엇인가를 지속적으로 진화하기 위해 생동하는 인간의 무늬들을 습득하고 공유하며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무형문화유산의 지정과 등재의 가치와도 그 궤를 같이 하고 있기 때문에, 무형문화유산의 도시로 진주에 초점을 맞추어 DB 구축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 국가 및 진주시에서 제공하는 무형문화유산 DB 현황을 살펴보니, 2015년 개정된 법령의 내용들을 적용하지 않은 채 무형문화재의 정의 및 기준 등을 제공하고 있고, 종목의 설명 또한 소략하게 산발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정된 법률과 제도를 파악하여, 이를 반영한 정의ㆍ유형ㆍ대상ㆍ내용들을 신속하게 수정해야 할 것이며, 체계적인 과정을 통한 균형성ㆍ통일성ㆍ연결성ㆍ종합성을 갖춘 DB 구축을 지향하는 바이다. 셋째, 그 예로 교방가요 DB 구축에서 인문학 및 예술학 연구자들이 할 수 있는 역할을 중심으로 프로세스를 기획해 보면, 먼저 단계별 추진 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해야 한다. 그리고 메타 사전학 또는 DB 인덱스 항목을 개발ㆍ분류하고, 교방가요 DB 의 전체 설계안을 구상한다. 마지막으로 DB 구축을 위한 전산 자료 파일을 정리하고, 네트워크 장치 관리자에게 해당 파일들을 제공한다. 여기서는 교방가요 중 <진주고무> 의 DB 아카이브 모델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oposes to build DB based on the factuality, logic, academic value, and rationality of knowledge related to Gyobang-gayo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Jinju Gyobang Culture seen through dance. The key points are as described below. First, Jinju Gyobang Culture seen through dance can be interpreted as acquiring, sharing, and advancing the human patterns of wanting to continuously evolve something. Because this has the same trajectory of the destination and value t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it may good for Jinju to explore the idea of building a DB with a focus on being a cit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cond, looking at the statu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B provided by the nation and Jinju city, the definitions and criteria of intangible culture assets are provided without applying the legislation revised in 2015, and the descriptions of categories are organized briefly and haphazardly. The revised legislation and policy need to be examined to quickly correct the definitions, classifications, subjects, and content that reflect it, and a balanced, unified, connected, and synthesized DB should be aimed to be built. Third, as an example, if the process of building the Gyobang-gayo DB is centered around humanities and art researchers, a detailed plan must be established stage by stage. Metalexicography or DB index items need to be developed and categorized, and form the overall design of the Gyobang-gayo DB. Lastly, the electronic data files needed for DB creation need to be organized, and the network device manager needs to be provided with the files. The serialized processes shall be presented as a DB Archive model of “Jinjugomoo( Jinju’s drum dance),” one of the Gyobang-gayo.

목차

1. 들어가며
2. 춤과 진주교방문화
3. 진주교방문화 DB의 현주소
4. 교방가요 DB의 설계 및 제안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지(金允志). (2022).춤으로 본 진주교방문화의 재해석과 DB모델안. 교방문화연구, 2 (2), 35-58

MLA

김윤지(金允志). "춤으로 본 진주교방문화의 재해석과 DB모델안." 교방문화연구, 2.2(2022): 35-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