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주교방문화의 역사와 가치

이용수  157

영문명
The History and Values of Jinju Gyobang Culture: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Anthology Concept
발행기관
한국교방문화학회
저자명
신현규
간행물 정보
『 교방문화연구』2권 2호, 9~3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진주교방문화의 역사를 앤솔로지 개념을 적용해서 그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여기서 앤솔로지(anthology)는 한마디로 ‘선집’을 말한다. 교방문화에 대한 국내외 자료를 모으는 아카이브에 앤솔로지를 적용하자는 것이다. ‘교방문화’는 교방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축적하여 그 가치와 역사성이 보존된 것을 말한다. 교방은 우리나라에서 고려시대부터 1910년까지 천년 이상 지속된 기관으로서의 전통을 지니고 있다. 교방에서는 기녀들의 춤과 노래 악기 연주는 물론, 시서화 등에 관한 종합적인 예술교육을 했다. 이러한 교방의 교육을 통해 발전되고 예술적인 경지를 이룩한 것이 바로 교방문화이다. 이 교방문화는 한국에서 부와 목 단위 이상의 지역에 설치되어 발달되었는데, 대표적으로 한강 이북에는 평양과 그 남쪽에는 진주가 대표적 도시이다. 아카이브(archive)는 역사적 가치 혹은 장기 보존의 가치를 가진 기록이나 문서들의 컬렉션을 의미하며, 동시에 이러한 기록이나 문서들을 보관하는 장소, 시설, 기관 등을 의미한다. 한국과 중국의 교방 관련 자료는 디지털 아카이브 진행에서 앤솔로지를 통한 통시적 및 공시적 선별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진주목의 교방은 정현석의 “교방가요”에서 ‘의암별제’를 통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교방문화 중심이기에 하나의 기준이 성립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 문화에 대한 스스로 폄하가 아닌 자부심으로 내세울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 교방의 악가무 및 시서화는 문화콘텐츠로서의 원형(Archetype)으로 응용 범위가 확대된다. 이를 위한 국내외 교방문화 관련 아카이브 작업이 선행하되, 앤솔리지 개념을 적용해서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tried to reveal its value by applying the concept of anthology to the history of Jinju Gyobang culture. Here, anthology means ‘anthology’ in a word. The idea is to apply the anthology to an archive that collects domestic and foreign data on Gyobang culture. ‘Gyobang culture’ refers to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Gyobang and the preservation of its value and historicity. Gyobang has a tradition as an institution that lasted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from the Korea Dynasty to 1910 in Korea. In Gyobang, comprehensive art education was provided for gisaengs in dancing,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s well as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It is the Gyobang culture that has been developed and achieved an artistic level through such education in Gyobang. This Gyobang culture was installed and developed in regions above the level of departments and moks in Korea, and representative cities are Pyongyang in the north of the Han River and Jinju in the south. Archive refers to a collection of records or documents with historical or long-term preservation value, and at the same time refers to a place, facility, or institution that stores these records or documents. Gyobang-related materials in Korea and China require diachronic and synchronic selection through anthology in the process of digital archiving. Because Jinjumok's Gyobang is the center of Gyobang culture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East Asia through ‘Uiambyeolje’ in Jung Hyeon-seok’s “Gyobang Song”, a standard must be established. We need an opportunity to present our culture with pride, not self-denigratio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Gyobang’s music, dance and poems and paintings expands to the Archetype as cultural content. For this purpose, archive work related to Gyobang culture at home and abroad is preceded, but it is necessary to study by applying the concept of anthology.

목차

1. 문제 제기
2. 동아시아 교방의 역사
3. 진주예기권번의 역사
4. 진주 교방문화의 앤솔로지 개념을 통한 가치 추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현규. (2022).진주교방문화의 역사와 가치. 교방문화연구, 2 (2), 9-34

MLA

신현규. "진주교방문화의 역사와 가치." 교방문화연구, 2.2(2022): 9-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