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 확진자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적 및 종교적 영향요인 연구

이용수  318

영문명
A Study on Spiritual and Religious Factors Affecting the Well-being of People Who Tested Positive for COVID-19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학회
저자명
김미숙
간행물 정보
『보건과 사회과학』제61집, 83~11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코로나19 감염병 대유행이 장기화하는 시기에 심리적 안녕감에 기여하는 종교 및 영성 요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본 연구는 종교 유무, 질병을 대하는 영적·종교적 태도, 팬데믹 상황에서 변화의 지각, 삶의 의미와 같은 영성및 종교 관련 변수들이 코로나19 확진자의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하고, 각요인의 영향력 크기를 순서로 확인하여, 위드 코로나 시대에 사람들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긍정적 요인들을 찾아서 학문적·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진 경험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295부의 자료를 수집했고, IBM SPSS 21.0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했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코로나19 확진자의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크기를 확인한 결과, 삶의 의미(MLQ) 하위요인인 의미발견, 주관적 건강, 코로나 스트레스, 변화의 지각(PCQ-K) 하위요인인 외로움과 걱정의 성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한계를 기술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spirituality and religion that can give psychological well-being at a time when the life-threatening COVID-19 pandemic is prolong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how variables such as religion, spiritual and religious attitudes toward illness, perceived changes, and the meaning in life affect the well-being of people who tested positive for COVID-19, and to determine the degree of influence of each factor. This study sought to draw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finding positive factors that can help improve people’s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is study, a total of 295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argeting those who tested positive for COVID-19,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21.0 progra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gree of influence of factors affecting WHO-5 well-being appeared in the order of ‘existence’ in meaning in life (MLQ), subjective health, corona stress, ‘worrying reflections and loneliness’ in perceived changes (PCQ-K).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y we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숙. (2022).코로나19 확진자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적 및 종교적 영향요인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 83-116

MLA

김미숙. "코로나19 확진자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적 및 종교적 영향요인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2022): 83-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