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oward an Authentic Spiritual Subjectivity: Reflections on Rahner’s Theological Transcendental Anthropology
이용수 15
- 영문명
- Toward an Authentic Spiritual Subjectivity: Reflections on Rahner’s Theological Transcendental Anthropology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유윤권
- 간행물 정보
- 『신학과철학』제42호, 113~14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라너의 ‘영적 주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 초월론적 인간론을 논구한다. 필자의 논의는 크게 세 부분으로 진행된다. 첫째, 라너가 어떻게 근대 철학, 특히 칸트 철학의 선험적 방법을 지양하여 자신의 초월론적 인간론을 신학적으로 정초하였는지에 대해 검토한다. 둘째, 본 논문의 핵심 논지로서, 라너 신학의 초월론적 인간론은 그의 고유한 ‘영성’ 개념에 기초한 것으로 초월성, 자유, 역사성을 그 계기로 갖는 변증법적 운동으로 파악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즉, 라너의 영적 주체성은 거룩한 신비인 하느님의 절대적 보편성을 향한 초월적이고 자유롭고 역사성을 띤 선험적 주체의 운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라너의 영적 주체성이 현재의 세계화의 맥락 속에서, 특히 ‘주체의 죽음’으로 대변되는 탈근대의 맥락 속에서 어떤 관련성과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에 대한 필자의 소견을 간략하게 피력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plores Rahner’s transcendental theological anthropology, with a special focus on his conception of “spiritual subjectivity.” This exploration proceeds in three phases. The first involves the examination of how Rahner could sublate the modern, particularly Kantian, idea of the transcendental method into his transcendental theological anthropology. The second concerns the main argument, that Rahner’s transcendental theological anthropology is characterized by his rich notion of “spirituality” of the human subject that includes the three moments of transcendence, freedom, and historicity in their dialectical relations. That is, Rahnerian spiritual subjectivity is a priori transcending, free, and historical movement toward the absolute universality of God as the holy mystery. And the third deals with my brief remarks on the relevance of Rahnerian spiritual subjectivity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globalization, particularly the postmodern context of the death of the subject.
목차
Introduction
1. Transcendental-Anthropological Turn in and for Theology
2. Rahner’s Spiritual Subjectivity as a Dialectical Totality of Transcendence, Freedom, and Historicity
3. Concluding Remarks: The Relevance and Implications of Rahnerian Spiritual Subjectivity in the Contemporary Contex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리는 ‘곧’ 필요 없는 존재가 될 것인가?
- 생티에리의 기욤의 『아가 주석』에 대한 연구
- “청년 예수”를 따라 살아가는 “청년” 그리스도인
- 실재와 실재성의 해석학
- Toward an Authentic Spiritual Subjectivity: Reflections on Rahner’s Theological Transcendental Anthropology
- 시노달리타스를 향한 사목적 회심
- 새『교리교육지침』과 한국 천주교 청소년 교리교육의 방향
-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자서전』의 문헌적 원천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의 필요성 연구
- 실재란 무엇인가?
- 신학과철학 제42호 목차
-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 관한 신실재론적 고찰
-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창세 1,1-4a 해석에 나타난 “conversio”의 삼위일체적 구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퍼펫을 활용한 가족 놀이치료 단일 사례연구 : 이혼 가정을 대상으로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구현을 위한 교육 방법 혁신 방안 탐색
- 기독교대학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그릿과 자기통제 그리고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 탐색
- 교회학교 교리교육 지원을 위한 챗봇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 GPTs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