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티에리의 기욤의 『아가 주석』에 대한 연구
이용수 28
- 영문명
- Study of the Exposition on the Song of songs written by William of St. Thierry: Focused on ‘status pietatis’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정태영
- 간행물 정보
- 『신학과철학』제42호, 309~33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 시대에 ‘신심’은 거의 잊혀진 단어이다. 일부 대중신심에 대해서도 의심스러운 눈으로 바라본다. 사목자들은 현장에서 빗나가기 쉬운 신자들의 대중신심을 비난만 할 것이 아니라 올바르게 이끌어 줄 필요가 있다.
생티에리의 기욤은『아가 주석』에서 ‘신심 상태’에 대해 많은 언급을 하였다. 참된 신심은 첫째로, 교회와 일치하여야 한다. 둘째로, 우리가 복음을 묵상할 때 신심에로 나아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우리의 이성은 뒤로 물러나고 신심어린 사랑은 하느님에 대한 이해에로 변화된다. 셋째로, 우리가 만일 ‘신심’에로 나아가면, 우리는 그리스도의 벗(amica)이 된다. 그리고 성경 ‘책의 말씀들’은 ‘하느님의 말씀’으로 변화된다. 넷째로, 신심 상태는 우리의 현상태보다 무언가 ‘조금 나아간 상태’이다.
결론적으로, 대중신심은 보살펴져야하고 참된 신심 혹은 ‘신심상태’로 이끌어져야 한다. 우리는 헛된 신심이 아니라 참된 신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중세 영성 고전으로부터 잃어버린 신심의 감각을 다시 살릴 지혜와 통찰을 얻으려는 작은 시도이다.
영문 초록
Piety is forgotten for our generation. Even some popular piety has been considered in a doubtful eyes. On the pastoral field, we should not blame only to the faithful’s popular piety. We need to take care and guide toward the truthful piety.
William of St. Thierry uttered a lot about the ‘Status pietatis’ in his Exposition on the Song of songs. firstly, He described that the true piety must have the unity with the Church. secondly, As we meditated the gospel, we expediate into the Piety. In this process, our reason step back and pious love is transformed into the intellect about God. thirdly, If we advanced into Piety, we become Christ’s amica and the words of bible are changed to the Word of God. fourthly, state of piety can be described as a little more than we are.
Conclusionally, Popular piety should be cared and guided to the truthful piety or Status pietatis. We need not to have false piety but to be truly pious. From the Spiritual classic of middle age, we tried to draw out some wisdom and insight to revive the forgotten sense of piety.
목차
들어가는 말
본문분석
1. 신심에 대한 전이해
2. 신심 수련의 과정
3. 신심 수련의 효과
4. 신심을 통한 성장
본문분석 결과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리는 ‘곧’ 필요 없는 존재가 될 것인가?
- 생티에리의 기욤의 『아가 주석』에 대한 연구
- “청년 예수”를 따라 살아가는 “청년” 그리스도인
- 실재와 실재성의 해석학
- Toward an Authentic Spiritual Subjectivity: Reflections on Rahner’s Theological Transcendental Anthropology
- 시노달리타스를 향한 사목적 회심
- 새『교리교육지침』과 한국 천주교 청소년 교리교육의 방향
-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자서전』의 문헌적 원천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의 필요성 연구
- 실재란 무엇인가?
- 신학과철학 제42호 목차
-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 관한 신실재론적 고찰
-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창세 1,1-4a 해석에 나타난 “conversio”의 삼위일체적 구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퍼펫을 활용한 가족 놀이치료 단일 사례연구 : 이혼 가정을 대상으로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구현을 위한 교육 방법 혁신 방안 탐색
- 기독교대학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그릿과 자기통제 그리고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 탐색
- 교회학교 교리교육 지원을 위한 챗봇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 GPTs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