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쓰기 지식과 쓰기 동기가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0
- 영문명
- The Effects of Writing Knowledge and Writing Motivation on Writing Proficiency for Expository Tex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영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4호, 127~15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쓰기 지식과 쓰기 동기가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의 한 중학교에서 쓰기 지식, 쓰기 동기, 쓰기 능력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쓰지 지식과 쓰기 동기는 중학생 쓰기 능력에 정적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쓰기 지식의 β는 .332, 쓰기 동기의 β는 .183, β의 설명력은 약 15.4%있었으며, 이들은 모두 통계적 유의하였다. 둘째, 회귀분석에서 쓰기 지식 요인과 쓰기 동기 요인으로 설명되지 않는 상수는 10.160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값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쓰기 지식과 쓰기 동기가 중학생 설명문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기대만큼 크지 않았으며, 중학생 설명문 쓰기 능력에는 쓰기 지식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려준다. 또한, 쓰기 동기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 쓰기 지식과 쓰기 동기로 설명할 수 없는 쓰기 능력 요소가 존재한다는 점을 알려준다. 그러므로 쓰기 수업 프로그램을 편성할 때에는 쓰기 지식과 쓰기 동기의 영향력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writing knowledge and writing motivation on writing proficiency for expository tex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concerned with writing proficiency, writing knowledge, and writing motivation were gained through a sampled middle school, and the effects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with stepwise. The results were that : ⑴ there was positive explanatory power of writing knowledge and writing motivation on writing proficiency. The β of writing knowledge was .332, of writing motivation was .183, their βs were significant. ⑵ the C value that was not related to writing knowledge and writing motivation was significant 10.160. There were discussions with the results that the effects of writing knowledge and writing motivation writing proficiency were smaller than what expected. The results said that other factors affect writing proficiency. Therefore, writing teacher of middle school will have to consider the effects of them when set up and implement the writing instruction programs for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교육 방안
- 이러닝 체제에서의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 방법 탐색
- 이주민 여성들이 잘못 쓰는 조사와 어미
- 法定里 漢譯 地名 硏究Ⅰ
- 설명문․논설문 쓰기 능력과 요약 능력의 상관성
- 독서교육을 통한 동합 논술교육의 효율적인 방안 연구
- ‘가족’과 ‘고향’ 모티프의 시적 양상-이용악론
- ‘X하다’의 결합 유형에 관한 연구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형용사 ‘아름답다’, ‘예쁘다’, ‘곱다’ 의미 교육 방안
- 독서 감상문 쓰기의 실태
- 교육 문법의 목적과 성격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분석을 통한 보조용언 사용 양상 연구
- 토론식 학습법을 원용한 소설 텍스트의 읽기 교육 방안 연구
- 쓰기 지식과 쓰기 동기가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이해’를 넘어 ‘활용’으로; 실제적 평가로서의 읽기 포트폴리오 평가 재조명
- 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 《조선어문》소재(所載) 고전시가의 양상과 특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