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정희의 장시집 《아우내의 새》에 나타난 기독교 정신
이용수 8
- 영문명
- Moon Jeong-Hee's long poetical work
appeared on the Christian spirit.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문현미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7호, 669~68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정희의 장시집《아우내의 새》는 유관순의 병천 만세운동 전개과정을 주요 내용으로 한 시집이다. 문정희는 병천 만세운동을 주도한 유관순의 불굴의 용기와 신념이 그의 기독교 신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믿고, 그런 유관순의 삶 자체에 깃든 자유혼을 그리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장시집《아우내의 새》에 나타난 기독교 정신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먼저 유관순의 기독교 신앙이 기독교적 집안 분위기와 이화학당에서 교육과 신앙생활, 병천 만세운동의 거점지였던 고향의 지령리교회가 유관순의 기독교 신앙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장시집 속에 기독교 정신이 어떻게 시적으로 수용되었는지를 다루었다. 문정희는 기독교 신앙을 지닌 시인은 아니지만 시집 속에 기독교 정신을 문학적으로 형상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시집 곳곳에서 기독교 관련 용어와 비유를 사용하면서 고난의 십자가, 죽음, 부활, 영생이라는 시집 구조를 통해 기독교 세계관을 수용하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유관순의 기독교적인 삶과 정신
3. 기독교 정신의 시적 수용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충북방언의 어휘음운론 서설(6)
- 이덕무의 사소절에 나타난 화법교육 고찰
- 모둠 독서 활동 중심 국어과 수업에서의 교사 지도 유형 비교 연구
- 교수 화법의 상호교섭적 전략 연구
- 북한의 문화어를 중심으로 한 백석 시의 어휘 몇 가지에 대한 검토
- 보육시설에서의 문학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 음성 지역 산신제와 산신설화의 전승양상
- 관형사 어미 ‘다는’에 대한 고찰
- 한자 원음주의 표기에 대한 고찰
- 선류몽설화의 신화론적 고찰
- 용언 ‘같-’ 구문의 공시성과 통시성
-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맥락의 수용 문제
- 남·북한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어휘 분포
- ‘한글’이란 단어의 오용·오인 문제에 대하여
- 작문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 청감(聽感)의 시학, 생동하는 토착어의 힘
- 읽기 교과서 개발 방향 검토
- 자연마을 이름의 어원 고찰
- 열린 글쓰기를 통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 문학 작품을 활용한 어휘 교육
- [저널치료] 새로운 일기쓰기
- ‘문법 교사의 수업 전문성 평가 모형’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실태 연구
- ‘엉겅퀴’ 관련 어휘의 통시적 고찰
- 미래연극의 성향
- 문정희의 장시집 《아우내의 새》에 나타난 기독교 정신
- 초등 학교 과정중심의 쓰기 수업 평가
- 국어 수업 전문성 발달 양상 연구
- 효율적인 음운교육의 학습방안 연구
- 한자어의 경음화 현상과 어휘부의 어휘 표시
-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 서사교육의 지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