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지역 ‘안거리 밖거리’ 거주 노인의 가족 간 상호작용 경험
이용수 16
- 영문명
- Familial Interaction Experience of the Elderly Living in a Traditional Housing in Jeju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서연
- 간행물 정보
- 『生活科學硏究』生活科學硏究 第31輯, 89~10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ving experience and family interactions of the elderly living in traditional residential culture of Jeju island based on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Also,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various problems of the elderly such as isolation and caregiving for the elderly, which are problematic due to the nuclear family and weakening of family care functions in modern society.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is with 8 cases, the core category was found to be “living on their own”.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consistently emphasized “independence” and they had pioneered their own lives from their youth to their old age. The elderly answered that they want their children to live independent lives separated from their parents. Thus, they have chosen a traditional form of residence to support their children’s independence. However, exchanges between generations are still remain, which has become a driving force in resolving the feeling of isolation and expressing their self-esteem. Through these results, we could see the possibility that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 could be transformed into a “productive subject” rather than a “object of care”. Finally furtherance of social cultural atmosphere and policy alternatives to encourage and maintain elderly’s independence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