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의 먹방시청시간과 신체적 특성 및 식 행동 요인과의 관계 예측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Relationship between Mukbang Viewing Tim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Eating Behaviors in Adult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남하얀 정복미
- 간행물 정보
- 『生活科學硏究』生活科學硏究 第31輯, 37~4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prediction of Mukbang viewing time and relationship with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dietary behavioral factors in adults. 800 adults(400 males and 400 females) who have watched Mukbang were survey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66 questions, including general information (age, gender, occupation, family member, income level), Mukbang viewing time, motives for viewing Mukbang, behavior after viewing Mukbang, subjective body type recognition, weight control, interest in health, frequency of exercise, height, eating behavior(breakfast frequency, delivery order frequency, late-night eating frequency), eating habits(balance, moderation, health practice) and food preference. All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andomforest’ package among Rstudio programs based on R.3.6.1 for random forest analysis. According to the Randomforest, Mukbang viewing time was most correlated with BMI(body mass index), followed by frequency of ordering delivery food, weight, age, and number of families. As a result of showing the importance of variable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using the rest of the variables excluding weight and height, the order that influenced the body mass index was the highest Mukbang viewing time, followed by gender, age, subjective body type recognition, and health interest and frequency of ordering delivery food. It seems that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for those who watch a lot of Mukbang shows to improve their lifestyle and eating habits as well as increase physical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