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re-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ion in Developing Digital Interactive Courses on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저자명
- 강민채 김동원
- 간행물 정보
- 『운동재활·복지』제3권 제2호, 21~2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2학기 1학기 디지털 상호작용 교과목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1학기 동안 게더타운을 활용한 공간에서 수업이 진행됨으로써 교수-학생의 상호작용 및 수업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A도에 소재하고 있는 B대학교와 C대학교 특수체육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재학생총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을 통하여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2-way[2] RM ANOVA)으로 하였다. 결론으로는 첫째, 디지털 상호작용 교과목 참여는 교수-학생의상호작용의 하위요인에 있어서 신뢰성과 친밀감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디지털 상호작용 교과목 참여는 수업 만족의 하위요인에 있어서 신체적 만족, 사회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수업 참여에 따른 전과 후의 시기별에 있어서는 신체적 만족,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 환경적 만족의 모든 요인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classes are held in a space using Gathertown during the first semester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interaction subjects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22nd semester, which affects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nd the class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40 students enrolled in the 3rd year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at University B and University C located in province A, and consisted of 20 experimental group and 20 comparative group.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2-way [2] RM ANOVA)through SPSS 25.0. In conclusion, first, participation in digital interactive subjects had a very positive effect on reliability and intimacy i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Second, participation in digital interactive subjects had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in sub-factors of class satisfaction. Also,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all factors of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in each period before and after class particip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재활운동에 따른 회전근개복원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와 어깨통증 및 심리상태의 변화
- 중국 대학생의 심리건강에 대한 인식과 신체활동 결정요인: 건강신념 모형
- 국내 수중심리운동의 연구 동향 및 미래 방향성 탐색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고강도인터벌트레이닝(HIIT) 참여 여성들의 운동지속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8주간의 근력 운동이 근감소성 비만 여성 노인의 신체 구성 성분, 근력 및 치매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 노르딕워킹 참여 액티브 시니어의 플로리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