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용 마음그램 척도 타당화
이용수 12
- 영문명
- Validation of Maumgram Scale for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황재연 안관수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6권 제4호, 281~30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된 마음그램 에비척도(2021)의 타당도를 재검증하는 것이다. 안관수(2021)가 개발한 마음그램 예비척도는 7개의 요인 가운데 일부 문항에 오류가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마음그램 예비척도의 요인구조와 문항의 구성을 분석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재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사용한 표본은 선행연구에서 수집한 중ㆍ고등학생 280명의 자료를 토대로 검증하였으며, 준거타당도에서는 충남, 전북 지역 중ㆍ고등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 후 공인타당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요인구조는 7요인(인간존중/용서/자기통제/의지력/자율성/수용/이타행동)으로 31문항이며, 요인모형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인타당도 결과 마음그램 척도는 무조건적 자기수용척도, 단축형 자기통제척도, 심리적 안녕감척도, 관용성척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tests the validity of the preliminary Maumgram scale developed for adolescents. Errors were found from a few of items among seven factor of preliminary Maumgram scale developed by An Gwansu(2021). To correct errors, it aims to retest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scale, by analyzing the factorial structure and the composition of items in it. It examined the sample used for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data of 280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collected by a previous study, and tested the concurrent validity, among criteria-related validity, by administering questionnaires to 312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and Jeong-buk. The findings show that the factor structure consists of seven factors (31 items) such as respect for persons, forgiveness, self-control, willpower, autonomy, acceptance and altruism, and the validity of the factor model is acceptable. The concurrent validity was tested to show that the Maumgram scale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scale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rief self-contro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lerance.
목차
Ⅰ. 서론
Ⅱ.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Ⅲ. 준거 타당도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cLuhan의 매체 이론이 메타버스 교육에 주는 함의
- 현행 표준기반 학습에 관한 미 체육 교사와 교사 교육자들의 인식 탐색
- 성인학습이론에서의 성찰개념 분석
- 유치원·어린이집 관리자의 경험을 통한 유아 및 보육교사 양성체제 분석
- 대전형 디지털 교육의 방향 탐색
- 학생 참여형 수업, 학생 참여, 자아개념, 의사소통 역량 사이의 구조적 관계
- 청소년용 마음그램 척도 타당화
- 코로나 19 발생 전후의 웹 정보 검색량 트렌드 비교를 통한 대학생의 학습 활동 변화 분석
- e-스쿨 프로그램에 대한 고교 학생선수 인식
- 내향성 학습자 특성에 부합하는 토론수업 체제에 관한 탐색 연구
-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년 교사의 경험 연구
-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장애요인에 관한 내러티브 분석
- 문제중심학습(PBL)기반 유아과학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
- 방과 후 스포츠클럽 지도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운동역학적 지도법을 기준으로 비교해 본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캐나다 온타리오주 체육교육과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