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리좀(rhizome)’ 관점에서 본 포스트모던 가구디자인
이용수 7
- 영문명
- Postmodern Furniture Design in the Concept of Rhizome
- 발행기관
- 한국가구학회
- 저자명
- 박은민(Eunmi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가구학회지』제33권 제4호, 395~40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rive a postmodern meaning by analyzing a specific phenomenon and formativeness in contemporary design through the biological and philosophical concept of ‘rhizome’ and applying it to furniture design. The main subjects of research are the furniture designs of Verner Panton, Ron Arad and Zaha Hadid. Their furnitures are generally has a fluid form, can be extended beyond dimensions through continuous connection and connection without beginning and end, is not fixed in one place, and can be disconnected or reconnected anywhere. In other words, it exhibits characteristics such as connectivity, openness, non-hierarchy, individuality, decentralization, diversity, variability, expandability, creativity, contingency, and fluidity,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rhizomes. These elements are consistent with the cor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art and culture, and also correspond to the nature of contemporary society and daily life where digital culture is prevalent. The postmodern characteristics of furniture design based on the rhizome concep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ws fragmentation and decentralization in terms of structure. Second, in the visual aspect, diversity, pluralism, fluidity, and dynamism are emphasized. Third, in terms of use, the user's taste or sensibility is prioritized over the author's subjectivity.
목차
1. 서 론
2. ‘리좀’과 포스트모던 디자인
3. ‘리좀’ 개념이 반영된 디자인 사례
4.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나전칠빗접 과학적 재질 분석 및 보존처리
- 중국 명나라 탁자에 관한 분석 연구
- 스마트 시티 공공공간 시설물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전통소반의 현대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 COVID-19 팬데믹에 의한 가구디자인 연구
- 3차원 적층곡목기법을 활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 한국 전통 소반의 퓨리즘 요소에 대한 연구
- 몬스트룸 놀이터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3D 디지털 프로세스를 이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 공예용 대나무의 표백 특성 및 잔류성분 분석
- 국산목재 이용 활성화를 위한 목공방의 목재사용 현황 분석
- 한국 전통 사각소반의 ‘상판과 변죽의 형태’를 응용한 트레이 디자인 연구
- Effects of Recycling Cycles and Coupling Agent on the Properties of Wood Fiber/Polypropylene Composites
- ‘리좀(rhizome)’ 관점에서 본 포스트모던 가구디자인
- 스마트기술 융합에 따른 스마트인테리어에 관한 연구
- 캄파나 형제와 브훌렉 형제의 가구디자인 비교 연구
- 우리나라 아트퍼니처의 태동과 전개양상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