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기술 융합에 따른 스마트인테리어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Smart Interior by Smart Technology Convergence
- 발행기관
- 한국가구학회
- 저자명
- 천혜선(Hye Sun Cheon)
- 간행물 정보
- 『한국가구학회지』제33권 제4호, 359~37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mart interior is a new industry that combines high-tech IT technology and interior. Therefore, IT-based companies and interior-specialized companies should collaborate to create a new convergence business model, and continuous research on related fields should be conducted in parallel.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mart interior field, including the smart home area, understand the smart technology status of interior components, and encourage the activation of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smart technology and interior to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sugg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smart interior field is a convergence area whe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nterior fields are combined, it is time to actively exchange technologies and study convergence approaches between fields. Second, starting with smart homes, the pace of development is accelerating as the demand for expanded smart spaces such as smart hotels, smart offices, and smart hospitals gradually increases. Third, since the introduction of smart technology is indispensable in interior design in the future, active technology grafting attempts are required, and in particular, active discussion on infrastructure design and movement plan for robot activities for robot services is needed. Fourth, interior component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as smart items that revive various needs of users by being combined with smart technology, so smart interior plans should be sought in consideration of them.
목차
1. 서 론
2. 스마트인테리어 개념과 전개양상
3. 스마트인테리어와 스마트기술
4. 인테리어 구성요소별 스마트기술 분석과 방향
5.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나전칠빗접 과학적 재질 분석 및 보존처리
- 중국 명나라 탁자에 관한 분석 연구
- 스마트 시티 공공공간 시설물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전통소반의 현대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 COVID-19 팬데믹에 의한 가구디자인 연구
- 3차원 적층곡목기법을 활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 한국 전통 소반의 퓨리즘 요소에 대한 연구
- 몬스트룸 놀이터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3D 디지털 프로세스를 이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 공예용 대나무의 표백 특성 및 잔류성분 분석
- 국산목재 이용 활성화를 위한 목공방의 목재사용 현황 분석
- 한국 전통 사각소반의 ‘상판과 변죽의 형태’를 응용한 트레이 디자인 연구
- Effects of Recycling Cycles and Coupling Agent on the Properties of Wood Fiber/Polypropylene Composites
- ‘리좀(rhizome)’ 관점에서 본 포스트모던 가구디자인
- 스마트기술 융합에 따른 스마트인테리어에 관한 연구
- 캄파나 형제와 브훌렉 형제의 가구디자인 비교 연구
- 우리나라 아트퍼니처의 태동과 전개양상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