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eochang and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On the Historical Value and Meaning of the center of the seowon Confucian Academy ritual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저자명
- 김영주(Kim, Young-ju)
- 간행물 정보
- 『동방한문학』제93호, 79~10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거창의 지리적 특성과 역사적 상황에서 유발된 강직하고 주체적인 정신이 학문방면으로 결집되어 표출된 형태가 도산서원의 건립이다. 그 주향인 김굉필은 이황에 의해 근세의 ‘道學之宗’으로 칭송받았을 뿐만 아니라, 그 외 많은 문인들에 의해 유학사에서 유교 이념의 생활 실천 양상을 기술한 『소학』의 가장 충실한 학습자이자 우리나라 도학 연원의 으뜸으로 일컬어진다. 이러한 인물을 제향하고자 서원의 난립에 대한 조정의 경계가 높아지는 조선후기에도 거창 지역의 사인들이 뜻을 모아 십 여 년에 걸친 지속적인 노력으로 도산서원을 건립하였다. 이것은 유학 이념의 실천적 모범을 제시한 후세의 영원한 모범으로서 김굉필의 학문적 가치를 재정립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역사적 의미를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construction of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is a form in which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eochang and the strong and independent spirit induced by historical situations are combined and expressed in the academic field.
Kim Goengpil who the center of the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ritual was praised by Lee Whang as the 'leading figure of Neo-Confucianism' of the time. But also, he is said by many writers to be the most faithful learner of 『Sohak』, which describes the life practice pattern of Confucian ideology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and the best of the origin of Taoism in Korea.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oundaries of the royal court against the disturbance of Seowon Confucian Academy increased. But confucian scholars in Geochang gathered their will to build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with continuous efforts over a decade. This can be evaluated in terms of redefining his academic value as an eternal model for the future generation that presented a practical example of Neo-Confucianism ideology.
목차
1. 들어가며
2. 金宏弼의 생애와 居昌의 場所性
3. 도산서원 설립의 정치적 의미
4. 도산서원 主享의 역사적 의미
5.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7세기 백제 회고시 연구
- 一蠹 鄭汝昌의 사상과 문학
- 로컬리티의 관점에서 본 생육신
- 端磎 金麟燮 문학 연구 시론
- 道山書院과 寒暄堂 金宏弼
- 20세기 초 ‘두문동 72현’ 현양사업의 주체와 성격
- ‘空山無人, 水流花開’의 의미와 한국에서의 수용 양상
- 道山書院의 복원과 개발 과제 제안(Ⅱ)
- 桐溪 鄭蘊의 삶과 문학
-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 대표훈 설정을 위한 제안
- 흥해 최씨 일가의 거창 정착과終慕堂 崔胤貞의 향촌 사회 활동
- 裕齋 宋基冕의 義理思想
- 道山書院의 복원과 개발 과제 제안(Ⅰ)
- 朴趾源과 朴齊家의 우정론 비교
- 茶山 丁若鏞 解配 이후 교유관계에 대한 고찰(2)
- 민간 전통 작명서 연구
- 『번역소학』과 『소학언해』 번역의 특징 비교 연구
- 居昌 道山書院 營建에 대한 고찰
- 조선시대 南海 錦山 유람과 현실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