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Hotel Employees on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이용수 121
- 영문명
-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Hotel Employees on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해양관광학회
- 저자명
- 박재연(Park, Jae-Yeon)
- 간행물 정보
- 『해양관광연구』제15권 제4호, 99~11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emotional labor of special first-class hotel employees affects role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 tried to grasp it. From June 10 to August 10, 2021, a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at exceptional first-class hotels located in the Seoul area, the capital of Korea, and 311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rface behavior and inner behavior during emotional labor significantly affected job characteristics, human relations, and job environment during job stress. Second,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burnout. Job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impacted emotional exhaustion, human relationships on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personal achievement degradation, job environment on depersonalization, and personal achievement. Third, it was found that emotional exhaus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turnover intention during job burnout. Looking a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job characteristics and human relationships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depletion, and emotional lack affected job turnover intention. As a passionate employee,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job stress and job burnout of special first-class hotel employees are significant in turnover inten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s and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호텔종사원의 코로나19 두려움과 고용불안정, 직무스트레스의 구조적 관계
-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Hotel Employees on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 가요가사에 나타난 여행의 의미
- 섬 관광자원개발에 있어 사회적 가치 형성과 고유성 구현
- 시니어세대의 해양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만족에 관한 연구
- 음식특화거리의 이미지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디어의 조절효과와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분석
-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해양 선호도, 해양치유 인식 간 관계에 관한 실증 연구
- 전통시장 관광활성화를 위한 시장조직 내부요인에 관한 연구
- 호텔 레스토랑 고객의 플라시보 소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 크루즈 기항지 관광 안내 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해양관광진흥법 입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어촌체험 프로그램 고도화에 관한 연구
- 라인댄스 동호인의 참가 몰입이 스트레스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 관광자의 ESG인식이 행동의도 및 추가비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11권 제4호 목차
- 지역축제 지역문화일치성이 주민자긍심과 참가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행 숏폼 동영상 콘텐츠 특성이 사용자 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중국인을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