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행 숏폼 동영상 콘텐츠 특성이 사용자 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중국인을 대상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Mechanism by Which Short-Form Travel Video Content Characteristics Influence Users' Travel Intentions:Focusing on Chinese Users
발행기관
융합관광콘텐츠학회
저자명
왕택군(Ze Qun Wang) 유진영(Jinyoung Jinnie Yoo)
간행물 정보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11권 제4호, 73~9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숏폼 동영상 플랫폼의 급속한 확산과 더불어 여행정보 소비 방식이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여행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특성이 소비자의 심리 반응과 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콘텐츠의 상호작용성, 정보성, 참신성이라는 자극 요인이 몰입경험과 지각된 즐거움이라는 심리기제를 매개로 행동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S-O-R 이론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중국의 대표 숏폼 플랫폼 ‘더우인’에서 여행 숏폼 콘텐츠를 시청한 경험이 있는 성인 사용자 3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SmartPLS 4.0을 활용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 구조방정식모형(PLS-SEM)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지각된 상호작용성, 정보성, 참신성은 모두 몰입경험과 지각된 즐거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몰입경험은 지각된 즐거움의 선행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두 심리 변수는 모두 여행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숏폼 동영상 콘텐츠 특성이 소비자의 몰입과 즐거움을 통해 여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론적으로는 다중 자극과 이중 매개경로를 포함하는 SOR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연구를 확장하였으며, 실무적으로는 콘텐츠 기획 시 상호작용과 감정 자극 요소의 전략적 활용, 플랫폼 맞춤형 알고리즘 설계, 관광지 중심의 감성 콘텐츠 강화 등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s how short-form travel video content influences users' psychological responses and travel intentions in a rapidly evolving digital environment shaped by the rise of short-form video platforms. Based on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framework, it examines how perceived interactivity, informativeness, and novelty function as stimuli affecting travel intentions via immersive experience and perceived enjoyment. Meth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34 adult users in China who had prior experience watching travel-related short videos on Douyin, a leading short-form video platfor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SmartPLS 4.0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o verify the proposed structural model through PLS-SEM. Results Perceived interactivity, informativeness, and novelty all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oth immersive experience and perceived enjoyment. Immersive experience, in turn, significantly influenced perceived enjoyment, and both psychological responses positively affected travel intentio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s how short-form travel video content influences users’ travel intentions through immersion and enjoyment. Theoretically, it extends the S-O-R model by integrating multiple stimuli and dual mediators. Practically, it suggests strategies for content design, algorithm development, and destination marketing suited to digital platform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가설 설정 및 연구모형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왕택군(Ze Qun Wang),유진영(Jinyoung Jinnie Yoo). (2025).여행 숏폼 동영상 콘텐츠 특성이 사용자 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중국인을 대상으로. 융합관광콘텐츠연구, 11 (4), 73-94

MLA

왕택군(Ze Qun Wang),유진영(Jinyoung Jinnie Yoo). "여행 숏폼 동영상 콘텐츠 특성이 사용자 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중국인을 대상으로." 융합관광콘텐츠연구, 11.4(2025): 73-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