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cean Preference, and Thalassotherapy Preception
- 발행기관
- 한국해양관광학회
- 저자명
- 김민정(Kim, Min-Jeong)
- 간행물 정보
- 『해양관광연구』제15권 제4호, 61~8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general public perceive the value of ocean healing, hence to use it as a base study for the promotion of ocean healing industry in Jeju Island. To this end, targeting adults who is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had experience of visiting the seas of Jeju in the past, this study measured the preference for seas of Jeju Island and the perception on the value of thalassotherapy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s tha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ocean healing according to ag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ocean healing according to gende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marriage, children, occupation, education, or incom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reference of seas of Jeju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ocean healing. This means that the more you prefer the ocean of Jeju, the more you put value on ocean healing, such as the value of marine resources, the value of marine resource elements, and the value of ocean healing.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 of the Jeju ocean healing industry, research on the factors favoring the seas of Jeju and the development of a scale or criteria that can sustainably maintain and preserve such factors should be preced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호텔종사원의 코로나19 두려움과 고용불안정, 직무스트레스의 구조적 관계
-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Hotel Employees on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 가요가사에 나타난 여행의 의미
- 섬 관광자원개발에 있어 사회적 가치 형성과 고유성 구현
- 시니어세대의 해양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만족에 관한 연구
- 음식특화거리의 이미지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디어의 조절효과와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분석
-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해양 선호도, 해양치유 인식 간 관계에 관한 실증 연구
- 전통시장 관광활성화를 위한 시장조직 내부요인에 관한 연구
- 호텔 레스토랑 고객의 플라시보 소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 크루즈 기항지 관광 안내 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해양관광진흥법 입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어촌체험 프로그램 고도화에 관한 연구
- 라인댄스 동호인의 참가 몰입이 스트레스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 관광자의 ESG인식이 행동의도 및 추가비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11권 제4호 목차
- 지역축제 지역문화일치성이 주민자긍심과 참가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행 숏폼 동영상 콘텐츠 특성이 사용자 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중국인을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