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Menu Quality of Internet Cafe Food Service Product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강경태(Kang, Kyung-Tae)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17권 3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PC방 외식상품의 메뉴품질이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해 PC방에서 외식메뉴를 판매함에 있어 실무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메뉴품질은 맛, 다양성, 가격으로 구성하였으며, 만족과 행동의도는 단일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지역의 PC방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방문자를 대상으로 제한하였으며, 비확률표본 추출 방법 가운데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의 가설 결과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1) 메뉴품질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2) 만족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3) 메뉴품질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PC방 외식상품의 메뉴품질이 만족과 행동의도 간의 영향 연구를 수행하여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술적으로 기존의 이론 연구를 지지하고, PC방의 운영성과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u quality of internet cafe food service products and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to provide practical basic data for selling foodservice menus in PC cafes based on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In this study, menu quality consisted of taste, variety, and price, whil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consisted of a single factor. This study was limited to visitors who had experience using PC rooms in Daegu,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he hypothesis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as follows; (1) Menu qua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2)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 (3) Menu qua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by conducting a study on the effect of menu quality of foodservice products in internet cafe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existing theoretical research academically and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internet cafe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help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the F&B industry increasingly complex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