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 대상 한국판 영유아 자폐 양적 체크리스트-10(KQ-CHAT-10)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이용수 225
- 영문명
-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Q-CHAT-10 for Korean Infants and Toddlers with ASD
- 발행기관
- 한국자폐학회
- 저자명
- 박지현 김용훈 이경숙
- 간행물 정보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22권 제3호, 61~8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 자폐 양적 체크리스트-10(Q-CHAT-10)의 국내 적용의 일환으로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 50명, 일반 집단 81명이었다. 측정 도구는 Q-CHAT-10을 한국어로 번안한 KQ-CHAT-10과 CBCL 1.5-5, CARS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KQ-CHAT-10은 10번 문항을 제외한 문항 간 상관이 유의미하였고, 문항 간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통해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0번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이 1 요인으로 나타났다. KQ-CHAT-10과 CBCL 1.5-5DSM 진단척도 중 전반적 발달 문제 하위척도와 CARS와의 공인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KQ-CHAT-10는 2점 득점 방식에서 민감도와 특이도가 가장 높은 통계적 절단 값은 3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진행된 Q-CHAT-10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antitative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10 (Q-CHAT-10)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Korean children. Subjects included 50 children with ASD and 81 typical children. Instruments were the Korean version of the Q-CHAT-10 (KQ-CHAT-10), CBCL 1.5-5 and CARS. The KQ-CHAT-10 showed a significant inter-item correlation except the item number 10 and its reliability was verified by inter-item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ll items excluding the number 10 were loaded onto one factor. Also, concurrent validity was checked between the KQ-CHAT-10, CBCL'S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DSM-Oriented Scales, and CARS. In the 2-point KQ-CHAT-10, the statistical cut-off value of 3 demonstrated the highes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check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CHAT-10 with Korean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