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외여행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이용수 30
- 영문명
- The Process of Solving Difficulties in Linguistic Communication During an Overseas Trip: A Grounded Theory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박세영 이원석 한주형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8호, 213~23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해외여행객이 현지인과 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 대하여 근거이론적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여행 중에 언어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이를 해결해 나가고자 했던 경험이 있는 11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외 여행객들은 ‘언어 제약 상황에서 언어가 가지는 권력성’ 과 ‘언어적 의사소통의 한계로 인해 좌절’을 중심현상으로 경험한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은 현지인들과 소통을 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소통을 이어나가기 위해 노력을 하며, 현지와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수용태도를 갖으려 함으로써 해결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여행객들은 현지인들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고, 개인적인 변화를 경험하며, 여행의 의미를 발견하는 등의 결과를 얻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여행객과 현지인 간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언어적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통을 통해 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는 점과 이를 토대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의사소통 개선 서비스를 제공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여행객과 현지인 뿐 아니라 다양한 관점을 반영한 여행과 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verseas traveler process for solving difficulties in linguistic communication with local people.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difficulties in linguistic communication during an overseas trip.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power of language in a linguistically constrained situation' and 'frustration due to the limitations of linguistic communication' as a central phenomenon. However, these difficulties were resolved by finding out how to communicate with local people, by trying to keep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by adapting to cultural differences. Through these actions and reactions, travelers overcame their prejudice concerning local people, experienced positive personal changes and discovered deeper meaning in their trip.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t is possible to build relationships with travelers and local people despite language differences. Furthermore, the results also suggest a need for communication improvements since service based on interaction is necessary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Therefore, future study conducted in travel and linguistic communication reflecting various views of travel is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획행동이론의 적용을 통한 승마 참여자의 행동지속성에 관한 연구
- 방한 외래 관광객의 전반적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 의사, 이미지 변화 정도의 종단 연구
- 전시회 서비스 품질 지각이 참가자 만족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기업 고용주브랜드 측정도구 개발 연구
- 정치적 갈등이 여행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 기업구성원의 일-생활의 균형이 사회적 지지, 정서적 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의료관광객에 대한 의료관광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신뢰를 매개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빅데이터 기반의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관광지 이미지 인식에 관한 연구
- 관광산업 발전이 도시 -농촌 소득불균형 완화에 미치는 영향
- KANO모형과 Timko의 고객만족계수를 이용한 항공사 기내이벤트 선호도 이해
- 세계권역별 방한 외래관광객의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 해외여행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