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업구성원의 일-생활의 균형이 사회적 지지, 정서적 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7
- 영문명
- The Effect of a Work-Life Balance on Social Support, Affective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Focusing on the Hospitality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김미정 유형숙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8호, 31~5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환대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이 느끼는 일-생활 균형과 정서적 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환대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였으며, 총 325부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환대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의 일-생활의 균형은 일-가정, 일-여가, 일-성장, 3개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3개의 하위요인 중 일-여가와 일-성장은 정서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정서적 몰입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과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한 결과, 일-생활의 균형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상사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동료지지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환대산업에 종사하는 젊은 세대들은 개인의 일과 생활의 영역이 조화롭게 분배되어 생활을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는 환경을 선호하기 때문에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하여 조직에 정서적으로 몰입해서 직무에 만족하고 이직하지 않는 구조를 운영해야한다는 점을 본 연구에서는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 results demonstrate that a work-life balance is related to factors associated with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in term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were obtained from a survey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employees working in the hospitality industry throughout Busan. A total of 32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identified three sub factors of work life balance among hospitality industry employees and these were: work-family, work-leisure and work-growth. Among them, work-leisure and work-growth were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Moreover, affective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le having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dditionally, multiple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social support. The results were that superior support affected employee commitment. However, colleague support did not lead to a moderating effect. The study showed that young employees in the hospitality business prefer a work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control their own lives through a work life balance.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businesses would increase their employee commitment and performance by improving their individual quality of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획행동이론의 적용을 통한 승마 참여자의 행동지속성에 관한 연구
- 방한 외래 관광객의 전반적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 의사, 이미지 변화 정도의 종단 연구
- 전시회 서비스 품질 지각이 참가자 만족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기업 고용주브랜드 측정도구 개발 연구
- 정치적 갈등이 여행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 기업구성원의 일-생활의 균형이 사회적 지지, 정서적 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의료관광객에 대한 의료관광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신뢰를 매개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빅데이터 기반의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관광지 이미지 인식에 관한 연구
- 관광산업 발전이 도시 -농촌 소득불균형 완화에 미치는 영향
- KANO모형과 Timko의 고객만족계수를 이용한 항공사 기내이벤트 선호도 이해
- 세계권역별 방한 외래관광객의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 해외여행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