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마트폰 관광안내정보 서비스 품질평가 및 속성분류 연구

이용수  15

영문명
A Study on Service Quality Evaluation and Attribute Classification of Tourism Information Service by Smart Phone
발행기관
한국관광학회
저자명
신영기
간행물 정보
『관광학연구』제41권 제1호, 223~23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1.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스마트폰 관광안내정보 서비스는 모바일 관광안내정보 서비스와 관광안내정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관광안내정보 제공매체로써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관광안내정보 서비스에 대한 품질 평가를 위해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정보품질,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 오락품질을 영향변수로 설정하고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였고, 분석결과 정보품질,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 오락품질은 모두 이용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품질의 이원적 인식방법을 적용하여 품질요인들의 개별 속성들이 만족ㆍ불만족이라는 주관적 측면과 물리적 충족ㆍ불충족이라는 객관적 측면으로 분석될 수 있도록 Kano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지속적으로 개발될 스마트폰 관광안내정보 서비스의 품질 기준선(quality baseline)을 설정하고, 보다 발전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용자 측면의 개발 가이드(development guide)를 제공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As a concept including the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and also the tourism information application service, Smart Phon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is gradually being emphasized as a medium to provide tourism information.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rapid spread of smart phones. In order to accomplish quality evaluation of Smart Phon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this study set up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and entertainment quality as influence factors and also verified their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by analyzing preceding research. Results of this analysis all show that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and entertainment quality influenced user satisfaction. Also, applying the dual cognition of quality, the Kano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individual attributes of quality factors according to the subjective aspect (satisfaction/dissatisfaction) and the objective aspect (physical satisfaction/dissatisfac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evelopment guide for the purpose of users to set up a quality baseline of smart phon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that can be continuously developed in the future, and also to provide better servi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영기. (2017).스마트폰 관광안내정보 서비스 품질평가 및 속성분류 연구. 관광학연구, 41 (1), 223-239

MLA

신영기. "스마트폰 관광안내정보 서비스 품질평가 및 속성분류 연구." 관광학연구, 41.1(2017): 223-2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