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행의 진지성이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5
- 영문명
- Structural Influences of Seriousness in Travel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 Travel and Lif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고동우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1호, 159~1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1.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진지한 여가 개념에서 도출한 여행경험의 진지성이 긍정여행심리자본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구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자원을 의미하는 긍정심리자본의 개념을 여행 영역에 맞게 조정하여, 긍정(여행)심리자본을 도출하고 4요인 16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여행의 진지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위 5개 차원에(인내, 전문경력, 노력, 강한 동일시, 특유의 공유감정) 해당되는 5문항으로 구성된 단축형 측정척도를 활용하였다. 학생과 일반인 652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와 AMOS 패키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세 가지 변수의 측정 척도는 모두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추었고, 측정모형의 적합도 역시 안정적인 수준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구모모형의 세 가지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하였다. 학생 집단(349명)과 일반인 집단(303명)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학생집단과 달리 일반인 집단의 자료에서 긍정(여행)심리자본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경로의 계수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아마도 일반인에 비해 학생들이 여행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여행자의 심리적 역량과 삶의 만족을 유도하는 선행변수로서 여행 경험의 진지성 개념이 유의한 설명력을 가진다는 것을 알려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explor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seriousness in trave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Positive PsyCAP) for travel, and life satisfaction. Positive PsyCAP, the mediator between seriousness and life satisfaction, was adjusted and measured as an integrated psychological resource to perform effective travel behaviors. Seriousness was measured using a short scale according to 5 factors. These were perseverance, expert career, strong effort, strong identification, and unique ethos without durable benefits. A total of 652 data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349 college students and 303 ordinary adults were collected by snowballing metho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fit index of structural model. The measurement scales for Positive PsyCAP and seriousness in travel have shown reliability and validities. Three path coefficients and the fit index for the structural model were also all significant. Two sub-samples showed similar results, although the path of the Positive PsyCAP to life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adult sampl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목적 및 필요성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 가시리마을의 목축문화 기반 농촌관광 창출에 관한 연구
- 일본인 쇼핑 관광객의 여행지에 대한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쇼핑 관련 기능적 일치성과 여행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거리가 방문의사 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관광지 수요예측
- 소셜 미디어 관광정보 공유제약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소셜 네트워크 리뷰를 이용한 관광객 e-불만 관리 모델(TeCM) 확장에 관한 연구
- 메시지 유형과 지각된 불확실성에 따른 소셜커머스 여행상품의 광고효과
- 한류와 방한 외래객 간의 상관관계 분석
- 융합된 문화관광을 위한 뮤지엄 방문객들의 가치와 행동에 관한 연구
- 여행의 진지성이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의료관광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 스마트폰 관광안내정보 서비스 품질평가 및 속성분류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