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기업가정신 분야의 주요 이슈와 향후 논의를 위한 제언
이용수 401
- 영문명
- Major Issues in the Field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Suggestions for Future Discourse
- 발행기관
- 기업가정신학회
- 저자명
- 김재구(JAE-GU KIM)
- 간행물 정보
- 『기업가정신연구』제3권 제2호, 21~4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적 기업가는 시민들의 요구 속에서 사업기회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자원 활용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사회적 기업의 발전과 사회 혁신 추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회적 기업가정신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정의와 관점들을 소개하고, 제도 혁신가로서의 사회적 기업가를 주목하며 기업과 정부의 혁신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사회적 기업들에 대한 유형화를 통해 다양한 사례들을 제시하고, 사회적 기업가 정신의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Social entrepreneurs must identify business opportunities in the context of citizens' demands and establish a business model that generates profits through effective resource utiliza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and driving social innovation is social entrepreneurship.
In this study, the definitions and perspectives of social entrepreneurship were introduced, and social entrepreneurs as institutional innovators were examined, and their influence on corporate and government innovation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various cases were present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social enterprises, and theoretical,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revitalizing the spirit of social entrepreneurship were attempted.
목차
Ⅰ. 서 론
Ⅱ.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이론적 배경
Ⅲ. 사회적 기업가정신 사례 분석
Ⅳ.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