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정한 자신의 삶과 마주하기 -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을 읽고
이용수 560
- 영문명
- Facing Your Real Life - After reading Henry David Thoreau’s Walde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태희(Lee Tae-hyee)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3권 2호, 571~58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에 대한 독후감 형식의 서평이다. 소로가 왜숲에 들어갔는지, 왜 이 책을 썼는지,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진정 말하고 싶은 것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피고자 했다. 소로가 월든 숲에 들어간 이유는 진정한 자신의 삶과마주하고자 한 것이고, 이 책을 쓰면서 던지는 메시지도 이와 다르지 않다. 소로는 무엇보다 간소한 삶을 추구했으며 독자들에게도 그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 책은 소로가 월든 숲에서 생활하면서 직접 경험하고, 발견하고, 성찰한 빛나는 내용들로 채워져 있다. 이 책은 단지 자연예찬이나 문명비판의 측면만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진정한 자신의 삶과 마주하기를 바라는 그런 소망과 의도가 담긴 책이라고 할 수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 book review of Henry David Thoreau’s Walden in the form of a book report. I tried to find out why Thoreau went into the forest, why he wrote this book, and what he really wanted to say through this book. Thoreau’s reason for entering the Walden Forest is to face his true life, and the message he throws while writing this book is no different. Thoreau pursued a simple life above all else and is asking readers to do so. The book is filled with brilliant stories that Thoreau experienced, discovered, and reflected on while living in the Walden Forest. This book does not only emphasize aspects of natural praise or criticism of civilization, but also contains the wishes and intentions of wanting us to face our true lives.
목차
1. 숲에 들어간 이유
2. 간소한 삶과 독서
3. 호수 탐사와 명상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백승충의 가야사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외국인 학생들의 비평적 글쓰기 교육 수업방향 연구
- 디지털 원주민을 위한 디지털 미디어교육 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 초등 예비교사의 국어교육에 대한 경험 및 인식 탐구
- TV 드라마 대본에 나타난 한국어 ‘밥’ 관련 관용표현의 변이 유형과 특징 고찰
- 동계경일(東溪敬一)·월파태율(月波兌律) 소상팔경시 연구
- 고전서사교육에서 문화적 격차의 인식과 해소 방안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생활 적응 방안 연구
- 장르 인식 향상을 위한 텍스트 유형과 장르 인식 활동 방안 연구
- ‘작은 가능성’에 대한 끝나지 않은 이야기
- 한국인 대학생 대상 교재와의 비교를 통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학술 글쓰기 교재 분석
- 대학 글쓰기의 주제 선정 지도 방안과 ‘So what?’ 연습의 도입
-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설계원칙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 보고텍스트 서론의 화제 구조 분석
- 차별이라는 수수께끼, 그 답을 찾아서
- 외국인 유학생의 전공 한국어 능력 함양을 위한 전공연계글쓰기(WAC)의 방향
- 국어과 임용시험 지필평가 적절성 연구
- 진정한 자신의 삶과 마주하기
- ‘작은 가능성’에 대한 끝나지 않은 이야기 - 김초엽, 『지구 끝의 온실』, 자이언트북스, 2021.
- 차별이라는 수수께끼, 그 답을 찾아서 - 이민진, 이미정 옮김(2022), 『파친코』, 문학사상
- 진정한 자신의 삶과 마주하기 -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을 읽고
- 인간과 기술의 관계 맺기를 위한 사유 - 질베르 시몽동,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읽기
- 오래된 미래에 바치는 화답(和答) - 세계문학상 수상작 『언맨드』 서평
- 오래된 미래에 바치는 화답(和答)
- 인간과 기술의 관계 맺기를 위한 사유
- 리터러시 연구 13권 2호 목차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여행 한국어’ 원격 수업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