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과 임용시험 지필평가 적절성 연구
이용수 455
- 영문명
- Research on the adequacy of paper-and-writing evaluation for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ppointment test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장은섭(Jang Eun Seob) 최승식(Choe Seung Sik) 구자윤(Ku Ja Yu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3권 2호, 177~21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어교사의 전문성과 직업 문식성을 바탕으로 임용시험 지필평가의 적절성에 대한 국어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전국의 국어교사 158명을 선정하여 설문지 방식과 인터뷰 내용을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어과 임용시험 지필평가와 직업문식성과의 상관성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둘째, 직업 문식성 핵심 내용으로 ‘국어 교과 지도 내용에 대한이해, 수업 및 평가에 대한 지식과 기능’ 항목을 우선적으로 꼽았다. 셋째, 임용시험지필평가가 국어 교사의 직업 문식성을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는 데 높은 긍정적 반응을 보인 반면, 지필평가가 국어 교사로 근무하는 데 도움이 되었거나, 교사의 전문성을 적절히 평가한다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반응을 보였다. 넷째, 직무 수행에 도움이 된 지필평가 영역은 ‘문법’과 ‘문학’을 꼽았고, 반면, ‘수업 및 평가에 대한 지식’ 부분은 압도적으로 보완이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를 통해 국어 교사의 전문성과 직업 문식성을 적절히 점검하기 위해 지필평가 출제 과정에서 실제 수업 실행과 밀접한 수업 및 평가에 대한 지식과 기능 부분을 더욱고려하여 국어과 각 영역을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지식을 직접적으로 묻고, 실제 교육활동 상황이 포함된 문항 개발을 촉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paper-based evaluation for the employment examination based on the professionalism and job literacy of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158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selected and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together. As a result, they showed a generally positive reac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per-based evaluation of the recruitment test and job literacy. As the core contents of vocational literacy,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knowledge and skills for class and evaluation were selected. In addition, there was a high positive reaction to the fact that the paper-based evaluation of the appointment test should properly evaluate the job liter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On the other hand, the parts that paper-and-writing evaluation helps teachers to work as teachers and that they properly evaluate teachers’ professionalism showed relatively low responses. ‘Grammar’ and ‘Literature’ were selected as the areas that were helpful in job performance, and the ‘knowledge of class and evaluation’ part showed that a lot of improvement was needed. Consequently, in order to check the professionalism and job liter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knowledge and skills of classes and evaluation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actual classes in the paper-and-writing evaluation process.
목차
1. 들어가며
2. 국어 교사의 직업 문식성
3. 연구 방법
4. 국어과 임용시험 지필평가 문항 분석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백승충의 가야사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외국인 학생들의 비평적 글쓰기 교육 수업방향 연구
- 디지털 원주민을 위한 디지털 미디어교육 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 초등 예비교사의 국어교육에 대한 경험 및 인식 탐구
- TV 드라마 대본에 나타난 한국어 ‘밥’ 관련 관용표현의 변이 유형과 특징 고찰
- 동계경일(東溪敬一)·월파태율(月波兌律) 소상팔경시 연구
- 고전서사교육에서 문화적 격차의 인식과 해소 방안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생활 적응 방안 연구
- 장르 인식 향상을 위한 텍스트 유형과 장르 인식 활동 방안 연구
- ‘작은 가능성’에 대한 끝나지 않은 이야기
- 한국인 대학생 대상 교재와의 비교를 통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학술 글쓰기 교재 분석
- 대학 글쓰기의 주제 선정 지도 방안과 ‘So what?’ 연습의 도입
-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설계원칙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 보고텍스트 서론의 화제 구조 분석
- 차별이라는 수수께끼, 그 답을 찾아서
- 외국인 유학생의 전공 한국어 능력 함양을 위한 전공연계글쓰기(WAC)의 방향
- 국어과 임용시험 지필평가 적절성 연구
- 진정한 자신의 삶과 마주하기
- ‘작은 가능성’에 대한 끝나지 않은 이야기 - 김초엽, 『지구 끝의 온실』, 자이언트북스, 2021.
- 차별이라는 수수께끼, 그 답을 찾아서 - 이민진, 이미정 옮김(2022), 『파친코』, 문학사상
- 진정한 자신의 삶과 마주하기 -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을 읽고
- 인간과 기술의 관계 맺기를 위한 사유 - 질베르 시몽동,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읽기
- 오래된 미래에 바치는 화답(和答) - 세계문학상 수상작 『언맨드』 서평
- 오래된 미래에 바치는 화답(和答)
- 인간과 기술의 관계 맺기를 위한 사유
- 리터러시 연구 13권 2호 목차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여행 한국어’ 원격 수업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