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용 안면피부 미용기기의 사용행태와 사용 만족도가 재구매 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9
- 영문명
- The Effect of Usage Behavior and Usage Satisfaction on Repurchase Intention of Facial Skin Care Devices: Focus on Skin Type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박해련(Hye-Ryeo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3권 제3호, 161~18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2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sage behavior and usage satisfaction on the repurchase intention of facial skin care device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35-question questionnaire among 356 women and the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skin type was classified into dry (3.4%), neutral (3.1%), oily (13.8%), combination (12.1%), sensitive (17.1%), and aging skin (20.8%). The most common skin type was combination 2, with 29.8%. Among the respondents, 63.8% answered 'yes' to 'repurchase intention', and the reasons were 'better than cosmetics use (33.3%)', 'easy skin care (32.3%)', 'good skin improvement effect (14.6%)', and 'time saving (13.0%)'. The most of wanted devices were LED mask (28.9%). The desired effects were elasticity, lifting (33.2%), and the improvement of skin tone and the reduction of blemishes (23.1%). ‘Neutral’ and ‘combination 1’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skin types in usage behavior, usag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p<.001). A posi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usage behavior and usage satisfaction (r=.464~633). Usage behavior and usage satisfaction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p<.05). In conclusion, these results may be highly useful as basic data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acial skin care devices. Women in China preferred the convex shape. For long hair styles, women in Korea did not like long hair without layers or with stumpy cut lines, which were favored among women in Chin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인의 사회적지지가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화장품TV-CF에 나타난 광고메이크업 이미지 변화
- 유튜브 뷰티 콘텐츠 특성이 콘텐츠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반영구 특수메이크업 Dr. Eye 4S기법 개발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
- 2015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 미용전공 대학생의 외모자신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프랜차이즈 헤어살롱 ‘제오헤어’의 환경적 요인, 심볼 내러티브, 브랜드 이미지, 재방문 및 추천 의도의 관계
- 남성 화장품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소비시장 변화 대응 방안
- 미용전공 대학생의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정용 안면피부 미용기기의 사용행태와 사용 만족도가 재구매 의사에 미치는 영향
-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내향성 발톱 교정을 위한 크랄레젤의 적용법에 따른 효과성 연구
- 시니어세대 외모관리인식이 헤어스타일 선택의도에 미치는 영향
- 헤어미용 서비스 재미 요인 구성개념 탐색
- 미용실 염색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연구
- 코스메슈티컬의 경험가치가 정보탐색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3권 제3호 목차
- 온택트 시대 강의방식 변화에 따른 교육 만족도 연구
- 메타휴먼크리에이터를 활용한 캐릭터 디자인 연구
- 수안재활운동이 전방머리자세에서 경추관절가동범위와 호흡량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절강성 성인의 항노화 및 피부관리 인식 조사
- 특수머리에 대한 인식연구와 대표적인 스타일에 따른 이미지 지각
- 한국의 고전머리와 서양의 시대별 메이크업을 융합한 뷰티아트 작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