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시기 맞벌이 여성이 지각한 스마트워크 유용성과 테크노스트레스가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
- 영문명
- The Effect of Smart Work Usefulness and Techno-stress Perceived by Dual-income Women on Work·Family Conflict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The Moderating Roles of Perception of Fairness in the Housework Divisio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최성희(Sung Hee Choi) 김연하(Yeon Ha Kim) 오윤자(Yoon Ja Oh)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7 No.2, 175~19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usefulness of smart work and work-family conflict and between the techno-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among dual-income women during the COVID-19 period. Also, the moderating roles of fairness in the division of housework between the links were explored. Methods: A total of 338 dual-income women who experienced ICT-based non-face-to-face working during the COVID-19 period were participants.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moderating roles of perception of fairness in the division of housework. Results: Dual-income women who perceived high smart work usefulness and fairness in the housework division reported low work-family conflict. In the associations between techno-stress and family-work conflict, the perception of fairness in the housework division played a protective factor. Conclusions: ICT-based non-face-to-face working methods will be used more in the future. For dual-income women, fairness in the housework division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smart work, reduce techno-stress, and reduce work-family conflict ultimately.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