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 및 지표개발 연구
이용수 436
- 영문명
- Developing a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ndicator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Major Program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오방실(Oh, Bangsil) 권영애(Kwon, Young Ae)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학연구』제35권 제3호, 75~9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에서 역량기반으로 개편한 전공 교육과정의 질 관리 체제 및 지표를 개발·도출하고 내용의 타당도를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Systematic Approach 기법을 기반으로,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 및 지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는 교육과정 편성,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지원, 교육과정 성과 및 개선까지 4개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11개의 세부항목, 총 25개의 지표를 도출하였다. 모든 지표는 CVR 최솟값(.59)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많은 국내외 학과 및 전공에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질 관리 체제를 구축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ndicator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major programs in 4-year universities. A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ndicators were derived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and two times Delphi tests with experts.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s includes four areas: curriculum organiz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curriculum support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and improvement. A total of four areas and 25 indicators were derived, and all indicators showed an average score of 4.0(appropriate) or higher, and the minimum CVR value of .64 or higher to ensure content validity. This study shows factors to consider when designing for university officials who consider to develop a competency-based major program curricul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quality management system that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many departments and universities opera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