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고 교육과정 다양화를 위한 학교 밖 교육 운영 방향 탐색
이용수 347
- 영문명
- A Study on Exploring the Operational Direction of Out-Of-Education for the Diversification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Based on Experts’ Delphi Survey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임종헌(Lim, Jongheon) 우선영(Woo, Sunyoung)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학연구』제35권 제3호, 51~7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고교학점제 추진으로 고교 교육과정의 다양화가 가속화되면서, 일반고에서 학교 밖 교육이 시범적으로 도입 및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일반고 학교 밖 교육의 운영 방향을 다각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시・도교육청 장학사, 대학 교수 및 국책연구기관 연구자, 지역사회 기관 관계자, 고등학교 교원 등 56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학교 밖 교육의 개념과 특징(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개념도, 학교 밖 교육의 개념, 학교 안과 밖 구분의 핵심 요소), 학교 밖 교육의 운영 요소(개설 과목, 지역사회 기관, 평가 및 기록, 강사 규정, 운영 체제)를 도출하였다.
학술적 기여: 학교 안과 밖의 구분을 위해서는 공간, 강사, 교육과정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운영주체가 학교 안과 밖을 구분하는 핵심 요소라는 점, 일반고에서 학교 밖 교육은 대입공정성을 고려해 신중하게 운영해야 한다는 점, 학교 밖 교육은 학교와 교원의 업무 부담이 되지 않도록 운영되어야 한다는 점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high school curriculum has been diversified, out-of-school education was introduced as a pilo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irection to operate out-of-school education in general high school. For this end, delphi survey of supervisors, professors, researchers, officials of community agencies, high school teachers were conducted.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out-of-education, operational elements such as subjects, community agencies, assessments and records, instructors, operating systems were ask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1) out-of-school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is distinguished concerning physical space, instructors, curricula, and so on; 2) out-of-school education has to be approached carefully due to its relation to college entrance; 3) workload of school and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과정 및 방법: 델파이 조사
Ⅳ. 연구 결과: 델파이 조사 결과
Ⅴ. 논의: 일반고 학교 밖 교육의 운영 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