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Community Disorder on Impulsivit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tigma
- 발행기관
- 한국교정복지학회
- 저자명
- 박영숙(Park, Young Suk)
- 간행물 정보
- 『교정복지연구』矯正福祉硏究 第78號, 31~5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촉법소년의 강력범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데, 특히 청소년들의 우발적인 범죄의 증가는 큰 사회문제이다. 즉 행위의 결과는 고려하지 않고 신중한 생각없이 충동성에 의해서 즉각적, 우발적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이렇듯 충동성은 청소년 비행 및 범죄의 원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 환경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지역사회 무질서 그리고 좌절감과 분노를 경험하게 하고 사회적 낙오자로 받아들이는 사회적 낙인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지역사회 무질서가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낙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사회 무질서는 사회적 낙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낙인감은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 무질서는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 무질서가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낙인감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붓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지역사회 무질서가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낙인감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Violent crimes by juvenile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which has become a social issue.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incidental crimes among young people is a big social problem. In other words, there are many cases where a crime is committed immediately and accidentally by impulsivity without considering the consequences of the action. As such, impulsivity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causes of juvenile delinquency and crime. Therefore, in this study, among various factors affecting impulsivity, community disorder, which can be said to be an environmental factor, and frustration and anger are experienced and accepted as social outcasts. tried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social stigma.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tigma in the effect of community disorder on impulsivity.
As a result of the study, community disorder was found to affect social stigma, and social stigma was found to affect impulsivity. In addition, community disorder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impulsivity, suggesting that social stigma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community disorder affecting impulsivity. As a result of bootstrapping for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tigma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community disorder affecting impulsiv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