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일 노동시장의 임금구조 변화
이용수 3
- 영문명
- A Comparative Approach on the Wage Structure between the Korea and Japan: Estimation of Wage Profile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 저자명
- 이승렬(Yee, Seung-Yeol)
- 간행물 정보
- 『아태연구』제18권 제3호, 145~16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연공제 임금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한국과 일본 양국의 노동시장이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파악하여 보았다. 양국의 노동부가 사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한 결과를 이용하여 민서(Mincer)형 임금함수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라 임금이 높아지는 임금구조는 2000년과 2007년의 관찰기간에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한국과 일본의 경우에 동일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한국과 일본 모두 연령 증가에 따른 임금 수준의 증가는 40대 초반에 정점에 이른다는 것이다. 둘째, 한국의 경우에는 2007년 자료로 임금 프로파일을 추정하였을 때, 근속년수의 임금상승효과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 결과와 함께 연령 효과를 연결해서 본다면, 한국에서는 연공급 성격의 임금구조가 강화된 것으로 이해해볼 수 있다. 셋째, 일본의 경우는 한국과 달리 근속년수가 20년 정도가 되면, 급여 상승의 기울기는 완화되고 있다. 2007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을 때, 근속년수가 30년 후반 정도부터 근속년수 효과가 역으로 작용하기에 이른다. 이 결과로 볼 때, 한국은 연공급제 구조가 강화되고, 일본은 반대로 약화되면서 한국과 일본의 양국은 임금구조의 면에서 유사성이 더욱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Korean and Japanese wage structure since 2000, of which the seniority system is characteristic. We estimated the wage profile using the wage survey data by the two governments in the years of 2000 and 2007. The results are as follow:First, the seniority system doesn't be extinct in the two countries during our period of observation. Both Korea and Japan have the wage systems in which the wages are rising to 40 years old, and going down from then on. Second, comparing between the estimation results in 2007 and the ones in 2000 in Korea, the tenure effect is positive to the workers who stay at the same employer during 30 years or more. This result says that the seniority system is more stable in the Korea labor market. Third, the estimated tenure effects are directly opposed between Korea and Japan. The slope of the wage profile has been flatter since 2000 in the Japanese wage structure. We infer from our estimation results that the seniority system has been being strengthening in the Korean labor market, but has been being weekened in the Japanese labor market with the increasing similarity between the Korean wage structure and the Japanese one.
목차
Ⅰ. 서론
Ⅱ. 분석자료와 분석모형
Ⅲ. 임금함수 추정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이탈주민 일상연구와 이주연구 패러다임 신고찰
-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다문화정책 한일비교연구
- 남‧북‧러 가스관 연결 프로젝트의 가능성과 한계
- 주역의 生態易學과 그 생명의식
- The Role of Epistemic Community in Some Experiences of Multi-Level Governance: Two Contrasting Cases of Regional Seas Programs, NOWPAP and MAP
- 브릭스(BRICs) 지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선택에 관한 비교연구
- 근대 한일관계와 개항지 부산
- 환동해 문화와 문화연구방법의 역사적 고찰
- 한․일 노동시장의 임금구조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항공보안의 숨겨진 위협 : 「내부자 위협 및 대응 전략 연구」 : 국제기구 논의 동향에 따른 항공보안법 벌칙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 사우디아라비아 드론 테러의 양상과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
- 한국 사회의 공공안전에 관한 연구동향 및 특성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