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브릭스(BRICs) 지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선택에 관한 비교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BRICs Consumers’ selection of Korean Product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 저자명
- 윤성환(Seong-Hwan Yoon)
- 간행물 정보
- 『아태연구』제18권 제3호, 107~12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가이미지와 기능적 속성 및 브랜드개성이 브릭스 지역 소비자들의 한국 핸드폰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으며, 실증분석 결과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러시아 소비자들이 한국 핸드폰 선택시 다른 지역 소비자들에 비해 국가이미지의 영향을, 중국 소비자들이 브랜드개성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개국 소비자들 모두 다른 두 요인에 비해 기능적 속성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중국 소비자들이 다른 지역 소비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능적 속성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브릭스 지역 소비자들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한국 핸드폰 선택에 있어 국가이미지와 기능적 속성뿐 아니라 브랜드개성의 영향을 함께 받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브릭스 지역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기업은 독특하고 개성 있는 브랜드 개발이 필요함을 암시한다. 특히 이러한 브랜드 이미지가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잘 나타낼 수 있을 때 소비자들의 충성도는 더 높아질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researches how country image and product attributes as well as brand personality influence BRICs consumers’ selection of Korean cell phones and the strateg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untry image has more influence on Russia consumers than three other consumers on selection of Korean cell phones and Chinese consumers have relatively more influence by Brand personality. Second, All BRICs consumers have more influences by product attributes than other two factors, and Chinese consumers have more influences by product attributes than three other consumers have. Throughout this study, it can be acutely recognized that brand personality and product attributes as well as country image influence on selection of cell phones made in Korea although there exist differences among BRICs consumers. This study suggests Korean corporates planning to extend its business in BRICs need effort to develop representative brands with a unique personality. Especially this brand image well representing country image of Korea can enhance consumers’ loyal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가설의 설정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이탈주민 일상연구와 이주연구 패러다임 신고찰
-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다문화정책 한일비교연구
- 남‧북‧러 가스관 연결 프로젝트의 가능성과 한계
- 주역의 生態易學과 그 생명의식
- The Role of Epistemic Community in Some Experiences of Multi-Level Governance: Two Contrasting Cases of Regional Seas Programs, NOWPAP and MAP
- 브릭스(BRICs) 지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선택에 관한 비교연구
- 근대 한일관계와 개항지 부산
- 환동해 문화와 문화연구방법의 역사적 고찰
- 한․일 노동시장의 임금구조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Journal of Asia Social Science Vol.13 No.2 Contents
- Research on the Innovative Practice and Optimisation Path of Microclasses in the Teaching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Birth of the “Internet Hippies”: Chinese Youth Subculture in the Perspective of Mirror The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