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북아 경제통합을 이끌 한·중·일 연합
이용수 2
- 영문명
- Towards China-Japan-Korea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Lessons from the Franco-German Coalition in Europe -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 저자명
- 정상희(Sang-Hee Jeong) 이종원(Jong-Won Lee) 황기식(Ki-Sik Hwang)
- 간행물 정보
- 『아태연구』제17권 제1호, 69~8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유럽통합 과정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던 독․불 연합의 사례를 통해 미진한 동북아 지역 경제협력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의 협력에 기반한 동북아 지역 경제협력 추진이 후발국가들의 개혁과 발전을 촉진하며, 지역경제협력 실현도 가능할 것임을 제시한다. 본고는 동북아 지역 경제 협력과 관련해 유럽통합의 경험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교훈을 검토하는 데 주목적을 갖고 있으며 특히 유럽통합 과정에서 추동력과 추진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독·불 연합으로부터 몇 가지 교훈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독·불 협력체제와 유사한 동아시아 양국협력체제의 구축은 동북아 각국에서 적절한 시장경제체제의 확립에 필요한 경제개혁을 앞당기는 원동력과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게 하는 외부적인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eeks to draw some useful implications from the European integration case for the region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uthors believe that establishing close relationship between two key major players (i.e. French-German coalition)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successful EU integration process, and suggest to make similar coalition among East Asian key countries, such as between Japan-Korea and China-Japan.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coalition between two key players would take a leading role in terms of creating a chance for North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including Northeast regional FTA.
목차
Ⅰ. 서론
Ⅱ. 유럽통합 과정에서의 독․불 연합
Ⅲ. 동북아시아에서의 지역 협력
Ⅳ. 독·불 연합으로부터의 교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폴란드-우크라이나의 과거사 문제 연구
- 동북아 경제통합을 이끌 한·중·일 연합
- Citizen Participation in Urban Development in Vietnam
- Pitting One Minority Against Another: Black Korean Conflict during the 1992 L.A. Riots
- China's Transitional Financial System: Evidence from the Growing Role of Financial Markets
- 일본 메인뱅크제도와 기업의 자금조달 구조
- 보편주의 사회프로그램의 성장과 쇠퇴
- 카자흐스탄의 재계 현황과 재계 엘리트의 특징
- 『금오신화』로 본 한국애정비극의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