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심상담자의 단회상담 인식에 관한 개념도 연구
이용수 220
- 영문명
- The Concept Mapping on the Recognition of Single Session Counseling of Novice Counselor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동하(Dong-Ha KIM) 이명우(Myung-Woo LEE) 강민아(Min-A KANG)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9권4호, 137~15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담을 시작하는 초심상담자들이 단회상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개념도방법을 활용하여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개념도 연구는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하는 주관적, 심리적인 자료를 다차원 척도법(MDS: Multidimensional Scaling)과 군집분석과 같은 다변량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서 연구참여자들이 어떠한 현상에 대해 인식하는 개념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이다. 초심상담자의 단회상담 인식에 관하여 최종 진술문 45개를 도출하였다. 또한 단회상담 인식최종 진술문에 대하여 연구 참여자들이 유사한 것끼리 분류하였고 각각의 문장이 단회상담인식에있어 얼마나 중요한지 평정하도록 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개의 군집이 확인되었다. 본연구는 초심상담자들이 단회상담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탐색함으로 초심상담자의 단회상담 교육에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novice counselors who start counseling areaware of single-session counseling using the conceptual mapping method. Conceptual mappingis a way to visually demonstrate the concept that study participants perceive about aphenomenon by analyzing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data experienced by study participants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were selected asresearch participant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45 finalstatements were drawn on the novice counselor's perception of single counseling. In addition,the study participants sorted these statements into piles in terms of similarity and rated theimportance of each statement for single counseling recognition.As a result of analyzing thecollected data,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usefulimplications for novice counselors' single counseling education by exploring how they perceivesingle counseling sess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게임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 푸드예술치료의 연구동향
- 초심상담자의 단회상담 인식에 관한 개념도 연구
- 노자 정치사상의 사회정책적 함의
-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smart phone addiction
- 코로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 보건·복지기관의 HRD 성숙도, 조직몰입, 혁신행동 및 혁신문화 비교
- 기독교신앙생활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코로나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비블리오드라마의 텍스트로써 그림책을 위한 연구
- 초기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 직업을 가진 중년기 남녀가 은퇴 후 추구하는 삶의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지 9권4호 목차
- 코로나19 팬데믹에서 대학생의 취업불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변혁적 리더십이 공군사관생도의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