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섬유·패션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NCS기반 니트패션산업 재직자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이용수 22
- 영문명
- Development of Retraining Curriculum for Employees in NCS-Based Knit Fashion Industry Reflecting the Demand of Domestic Textile Fashion Companie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구다솜(Koo, Da-Som) 안재상(An, Jae-Sang) 윤혜준(Yoon, Hye-Joon)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6권 제2호, 125~14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o operate an optimal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onsite technology in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a demand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domestic textile and fashion companies, and the current incumbent retraining process was reorganized.
Methods: We conducted a demand survey on domestic textile and fashion companies for the training courses conducted from March 2019 to November 2021. The survey period was from July 5, 2021 to October 11, 2021, and online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llected from 330 participants.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mand survey, the curriculum was reorganized. The number of modules was reduced from five to four, training hours were distributed for each subject in each course, fabric and subsidiary materials for clothing were suggested as subjects in demand, cost calculation, and classes related to work orders were added. In addition, content related to various special sewing machines was included in the training course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to incumbents in fashion companies.
Conclusion/Implications: To reflect the rapidly changing trends in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the incumbent training program should be reorganized periodically based on recurring demand surveys. In addition, cooperation with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and standardization and manualization of job competency are required to develop the job system for each work site. The results indicate the possibility of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incumbents of domestic textile and fashion companies. Moreover,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through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리나라 영유아의 삶의 질
- 포스트코로나 시대 노후아파트 리모델링 계획을 위한 거주자 의견 조사
- 중국 전통 패치워크의 디자인적 요소를 활용한 복식 디자인 개발
- 소비자의 제품위해정보 탐색활용, 위해정보정책 만족, 위해정보 지식의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6권 제2호 목차
- 다가구매입임대주택 거주자를 위한 주거서비스와 공가 활용 방안
- 경기지역 일부 유아 대상 가정 연계 이닦기 교육의 효과
- 한국인 우울증상 성인의 소화기 장애
- 코로나19 시대의 부모의 심리적 증상과 정서 재평가 및 심리·행동 통제가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섬유·패션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NCS기반 니트패션산업 재직자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 개인별 목표 설정과 스마트폰 기반 영양상담이 과체중 및 비만 시내버스 운전자의 식습관 개선과 체중감소에 미치는 효과
- 버진 폴리에스터 직물과 재생 폴리에스터 직물의 물리적 특성 및 시촉감 특성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