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인별 목표 설정과 스마트폰 기반 영양상담이 과체중 및 비만 시내버스 운전자의 식습관 개선과 체중감소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05
- 영문명
- Impact of Personalized Goal Setting and Smartphone-Based Nutrition Counseling on Dietary Habit Improvement and Weight Loss among City Bus Drivers with Overweight and Obesity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조수현 김지현 조용민 한영희 여윤재 연미영 현태선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6권 제2호, 81~9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personalized goal setting and smartphone-based nutrition counseling on dietary habit improvement and weight loss among city bus drivers with overweight and obesity.
Method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52 city bus drivers with overweight and obesit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Before the program, three specific action goals for behavior modification, including two dietary goals and one activity goal, were individually established, and a goal checklist and a smartwatch were provided to monitor goal attainment. Smartphone-based nutrition counseling using Kakao Talk messenger by a dietitian was conducted for six weeks. Each participant sent the checklist and the smartwatch record to the dietitian once a week, and the dietitian provided feedback through messages. Health habits, dietary habits, food consumption, and anthropometr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frequency of alcohol drinking significantly decreased, physical activity increased,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mproved; the consumption frequencies of multi-grain rice and milk/dairy product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consumption frequencies of instant noodles, snacks, late-night meals, sweet- and salty-food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before the program. In addition, after six weeks, the average w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mass, percent body fat, and waist circumference significantly decreased. Most participants (94.2%) were satisfied with nutrition counseling, and 88.5% and 75.0%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helpful in improving their dietary habits and in managing their body weight, respectively.
Conclusion/Implications: Despite the short intervention period of six weeks, positive changes in health habits, dietary habits, and weight loss were observed. Personalized goal setting and smartphone-based nutrition counseling is considered a good model for dietary habit improvement and weight loss for time-limited workers, such as bus drivers, who have difficulty in making time for nutrition interv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리나라 영유아의 삶의 질
- 포스트코로나 시대 노후아파트 리모델링 계획을 위한 거주자 의견 조사
- 중국 전통 패치워크의 디자인적 요소를 활용한 복식 디자인 개발
- 소비자의 제품위해정보 탐색활용, 위해정보정책 만족, 위해정보 지식의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6권 제2호 목차
- 다가구매입임대주택 거주자를 위한 주거서비스와 공가 활용 방안
- 경기지역 일부 유아 대상 가정 연계 이닦기 교육의 효과
- 한국인 우울증상 성인의 소화기 장애
- 코로나19 시대의 부모의 심리적 증상과 정서 재평가 및 심리·행동 통제가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섬유·패션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NCS기반 니트패션산업 재직자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 개인별 목표 설정과 스마트폰 기반 영양상담이 과체중 및 비만 시내버스 운전자의 식습관 개선과 체중감소에 미치는 효과
- 버진 폴리에스터 직물과 재생 폴리에스터 직물의 물리적 특성 및 시촉감 특성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